실시간 랭킹 뉴스

장하성·김상조는 개방형 펀드 투자?…'VIP 투자조건' 적용됐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장하성, 친동생표 디스커버리 펀드에 거액 태워…김상조도 투자
"특수관계인이자 고위공직자가 거액투자…의혹 따를 수밖에"
일반인은 '폐쇄형', 장하성 등 VIP는 '개방형' 투자 의혹도
전문가 "사실이라면 논란 불가피…특혜·운용 개입 있었나"
거액 환매중단 사태 발생…장하성·김상조 "환매 사실 없다"

스왼쪽부터 장하성 주중 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연합뉴스스왼쪽부터 장하성 주중 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연합뉴스
NOCUTBIZ
장하성 주중 대사 부부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장 대사 친동생이 운용한 '디스커버리 사모펀드'에 거액을 투자한 사실이 드러나고,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가 발생한 해당 펀드에 투자한 방식도 일반 투자자들과는 달랐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혜를 본 것 아니냐는 의혹이 번지고 있다. 당사자들은 오히려 손실을 떠안았다며 선을 긋고 있지만, 여전히 따져볼 대목이 많다는 지적이다.
 
디스커버리 사모펀드는 장 대사의 친동생인 장하원씨가 2016년 11월 자본금 25억 원으로 설립한 디스커버리 자산운용사에서 기획해 2017년부터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을 포함한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한 상품이다.
 
기초자산인 미국 소상공인·부동산 대출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기업은행에서 주로 팔았던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 등이 대표 상품이다. 투자금이 미국의 핀테크 회사인 DLG를 거쳐 미국 자산운용사 DLI의 소상공인 대출채권 매입 등에 쓰이는 재간접 투자 방식이다. 유사한 구조의 상품들이 하나은행과 대신증권 등을 통해서도 판매됐는데, 2019년 4월 펀드의 실질적 운용사였던 DLI가 수익률 등을 허위보고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 피해는 지난해 4월 말 기준 2562억 원에 달한다.
 
금융권에선 장 대사가 친동생이 운용하는 사모펀드에 투자한 행위 자체가 논란을 자초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운용사 대표의 특수관계인이자 청와대 정책실장이었던 장 대사가 거액을 투자함으로써 '운용사가 전권을 갖는 펀드 설계·운용에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의심의 시선은 장 대사 부부와 김 전 실장 등 유력인사들이 투자한 디스커버리 사모펀드 유형이 대다수 일반 투자자들의 '폐쇄형 펀드'가 아닌, '개방형 펀드'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욱 짙어지는 모양새다. 개방형 펀드는 만기 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에 비해 중도 입출금이 자유롭다. 장 대사를 중심으로 위험을 더 빨리 인지하고,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던 'VIP형 투자 환경'이 마련됐던 것 아니냐는 물음표가 불거진 대목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자본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대출 채권이라는 동일한 기초자산에 투자하면서 상품별로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방식을 달리했다면 차별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유력인사들의 투자시점으로 알려진 2017년엔 사모펀드 규제가 느슨해 이 같은 차등 판매가 보다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는 구조이긴 했지만, 정상은 아니라는 취지다. 사모펀드에 정통한 금융권 관계자는 "그 당시 규제상황으로 법적 책임을 따지긴 어려워 보이는데, 실제 소수 유력인사들만 개방형으로 투자했다면 정서적으론 누가 봐도 특혜일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장 대사와 김 전 실장 등이 투자한 펀드 상품이 여타 폐쇄형 디스커버리 사모펀드와 동일 기초자산에 투자한 상품이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다만 장 대사는 2019년 재산 공개 내역에서 유안타증권 예금 44억 원이 줄어든 게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와 연관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일체의 환매는 없었다"며 "2018년 8월 유안타증권 투자 상품 만기로 인한 상환 금액 전액을 대신증권을 통해 동일 펀드에 재투자 한 것"이라고 밝혔다.
 
장 대사가 언급한 대신증권에선 DLG 관련 소상공인 대출채권 펀드를 실제 개방형으로 판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은행의 경우 DLG를 거쳐 소상공인 대출채권에 투자하는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를 모두 폐쇄형으로 판매했다는 점에서 법조계에서도 "본질적으론 동일한 펀드를 형식만 달리 판 것 아니냐"는 물음표가 나온다. 대신증권 측은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의 결정은 판매사인 증권사나 은행이 아니라 운용사에서 결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장 대사 등 유력인사들이 돈을 넣었다는 개방형 디스커버리 펀드가 다른 폐쇄형 펀드들과는 기초자산을 달리하는 '비동일 상품'이었다고 하더라도, 통상 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사모펀드가 개방형으로 설계되는 건 "일반적으로 보긴 어렵다"는 설명도 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사모펀드를 개방형으로 만들면 유동성 리스크가 커져 관리가 힘들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가 벌어진 라임펀드의 경우에도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유동성 관리가 어려운 기초자산을 개방형으로 판매해 오히려 환매중단 사태를 더 심각한 상황으로 몰고가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종합하자면 이번 디스커버리 환매 중단 사태 관련 개방형 펀드 투자 의혹을 둘러싸곤 어떤 경우든지 석연치 않은 대목들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내부정보를 이용한 투자금 선제 회수 조치 등이 이들 사이에서 이뤄지지 않았다면, 특혜 논란은 소모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를 대리하는 신장식 변호사는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는 쟁점이 아니고, 다른 투자자들은 전부 환매가 중단됐는데, 특정인만 내부 정보를 통해 환매를 받았다면 그게 핵심적 문제"라며 "장 대사와 김 전 실장 등의 입장이 거짓말이 아니라면, 광의의 의미에서 그 분들도 피해자"라고 말했다.
 
장 대사는 입장문을 통해 "부실 사고가 발생한 펀드 투자와 관련해, 사고 이후에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며 "필요하다면 추가로 소명하고 조사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실장 역시 언론을 통해 "환매를 청구한 사실도, 수령한 사실도 없다"고 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이들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도 따져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해 7월 디스커버리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펀드 투자자의 이름과 투자금액이 적힌 PC파일을 확보했는데, 여기엔 2017년쯤 당시 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이었던 장 대사와 그의 부인이 약 60억 원을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비슷한 시기에 공정거래위원장에 취임한 김 전 실장 또한 해당 펀드에 4억여 원을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