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文정부 5년, 서울 전세입자 집 사려면 4.4억 원 더 필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연합뉴스연합뉴스문재인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매매로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평균 4억 4000여만 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이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2017년 6월~2021년 6월간 서울 아파트 시세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시세와 전세시세 차이가 4억 4748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평균 4억 4000여만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월에는 시세차가 1억 6691만 원에 불과했지만, 이듬해인 2018년 6월에는 2억 4567만 원이 됐다. 이후 △2019년 6월 3억 1946만 원 △2020년 6월 4억 1717만 원 △2021년 6월 4억 4748만 원 등의 순으로 매년 비용이 증가했다. 이로써 4년 동안 세입자의 내집마련 비용이 2.7배나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 중 매매·전세 시세차이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로 2021년 6월 현재 9억 1064만 원에 달했다. 이어 △용산구 8억 1625만 원 △서초구 7억 9122만 원 △송파구 6억 2048만 원 △성동구 6억 1961만 원 순이었다. 이외에도 △영등포구와 △양천구 △동작구 △마포구 등도 평균 4억 원 이상의 매입비용이 필요했다.

2017년 6월 전체 25개 자치구 중 매매 갈아타기 비용이 1억 미만인 곳이 11곳이나 됐지만 5년여가 지난 현재 1억 미만인 자치구는 단 한곳도 없었다.

서대문구는 매매·전세차이가 8939만 원에서 3억 4699만 원으로 급증했고, 노원구에서도 7252만 원이었던 간격이 2억 8757만 원으로 벌어졌다. 6710만 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던 구로구조차도 집을 사기 위해서는 평균 2억 5667만 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의원은 "5년 전만해도 서울에서 전세로 살면서 1억만 모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라며 "문재인 정부는 곧 퇴장하지만, 망가뜨린 주거사다리는 두고두고 국민을 힘들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0

0

전체 댓글 10

새로고침
  • NAVER찐멘트2023-06-07 11:49:33신고

    추천2비추천0

    칼륨은 인체의 신경과 근육 세포를 움직이는 필수 원소입니다.

    그래서 인체는 칼륨을 세포에 흡수하려고 하는데

    세슘이 주기율표에서 칼륨의 두단계 밑쯤 가까운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우리 신체는 이 세슘을 칼륨으로 착각하고 인체 세포와 결합해 배출조차 안한다고 해요

    이러니 인체는 온갖 암에 걸릴수밖에 없는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세슘 범벅된 우럭이 일본 후쿠시마에서 잡혔다고 하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하면 더 심해지겠죠..

  • NAVER소신792023-06-06 18:47:21신고

    추천19비추천1

    미치지않고서야... 대체 무슨생각으로 이런 멍청한놈을 대통을 만들어서... 찍은놈들만 셰슘 묵어라!!!

  • NAVER윤도리2023-06-06 18:35:00신고

    추천13비추천1

    처 먹여라..깔데기 목에 꼽고 처 먹여라..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