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전체 농가 수 감소에도 도시 지역 농가는 증가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난해 동 지역 농가 수 2015년 대비 22.4% 급증…경작은 농촌에서, 거주는 도시에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잠정). 통계청 제공

 

거주는 도시 지역에 하면서 농촌 지역에서 논밭을 경작하는 농부들이 늘고 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농가 수는 103만 6천 가구로 2015년보다 5만 3천 가구, 4.8% 줄었다.

농업총조사와 어업총조사, 임업총조사를 통합한 '농림어업총조사'는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시행되고 있다.

앞서 2010년과 2015년 조사에서 전체 농가 수 감소율은 각각 7.6%와 7.9%를 기록했다.

전체 농가 수 감소 추세 속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동' 지역과 '읍면' 지역 농가 수 증감 추이다.

동은 대도시 '구'와 지방 '시'의 동으로 도시 지역을 가리키며, 읍면은 '군' 단위에 속한 행정구역으로 전형적인 농촌 지역을 의미한다.

지난해 동 지역 농가는 28만 4천 가구로, 2015년 23만 2천 가구보다 무려 22.4%(5만 2천 가구) 늘었다.

농림어업총조사에서 '농가'는 논이나 밭을 1000㎡ 이상 직접 경작하는 가구를 뜻한다.

반면, 읍면 지역 농가는 2015년 85만 6천 가구에서 지난해 75만 2천 가구로 12.1%(10만 4천 가구) 줄었다.

동 지역 농가 증가율은 2010년과 2015년 조사에서 각각 5.1%와 4.2%를 기록했는데 지난해는 22.4%로 급등했다.

통계청 홍연권 농어업통계과장은 "농촌에서 경작을 하면서도 거주지는 생활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도시를 선택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어가 규모는 4만 3천 가구로 2015년 5만 5천 가구 대비 20.7% 감소했다.

농가 감소율 4.8%를 압도하는 수치다.

어가와 농가 감소와 대조적으로 지난해 임가는 9만 8천 가구로 2015년보다 8천 가구(8.7%) 증가했는데 산림청 등 당국의 임업 지원책 등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됐다.

0

0

전체 댓글 6

새로고침
  • NAVER랄지노노2022-07-23 00:31:17신고

    추천1비추천0

    뉴스기사를 인용하면 (이동하는 것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공기 중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PM1.0), 블랙 카본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카메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카메라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한다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가막힌다 그죠?
    세상 좋아졌네요 카메라로 공기중 분석도 가능하고 좀있으면 안개도 몸에 유해하다고 뉴스기사 나와야하는데 그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AVERTOni2022-07-22 14:33:59신고

    추천0비추천0

    재밌네요
    국가에 세금 부족할때마다
    전자담배 액상이 마치 연초보다 안좋다는 듯이 하시고
    다시 연초로 돌아가게 하실려는 목적 아니신가요?
    적당히좀 하세요.

  • NAVER고래벱2022-07-21 18:01:16신고

    추천0비추천0

    신박한 헛소리네요.
    가습기틀고 초미세먼지 한번 측정해보세요.
    에어로졸이던 연기던 그안에 성분을 조사해야지 얼마나 멀리나가는지가 중요합니까??
    차악을 막기전에 최악부터 막을생각을 해야지...
    아무것도 안하는게 제일 좋겠지만 전자담배가 연초담배보다 더 유해하다는 기사는 이제 지겹네요
    지금 때가 어느때인데 우민화하려는지.....
    로그인하게 하려는 어그로인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