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육 환경 예시로 제시된 서울 창덕여중 사례. 260대의 태블릿PC를 충전·관리하는 대여공간이 마련돼 있고, 원형 테이블을 활용해 모두가 참여하는 수업이 가능하다. 교육부 제공
40년 넘은 노후 학교 건물을 최첨단 학교로 탈바꿈시키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 18조5천억원이 투입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판 뉴딜의 대표사업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40년 이상 노후화된 학교건물 2천835개동(약 1,400개 학교)을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미래형 학교로 바꾸는 대규모 사업으로 총 18조 5천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비의 30%(5조5천억원)는 국비로, 70%(13조원)는 지방비로 충당된다.
현재 40년이 넘은 전국의 학교 노후 시설은 총 7천980동으로 합숙소, 창고 등 교육 용도 외의 시설을 제외한 약 6천여동 가운데 50% 정도가 사업 대상이 된다.
사업의 기본방향은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학교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혁신한 미래학교 선도모델을 마련하고 선정된 학교를 연차적으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로 전환한다.
또 학교 구성원이 학습공간이나 휴식 ·소통 공간 등을 직접 제안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사용자 참여 원칙으로 진행하며, 학교가 자율적으로 공동체의 요구, 지역의 여건 그리고 학교의 비전 등을 반영해 다양하고 특색있는 모습으로 조성한다.
사업의 핵심요소로는 학생 선택형 학습과 소통의 공간혁신, 디지털 환경 기반의 스마트 교실, 친환경 탄소중립이 그린 학교, 지역과 공유하는 학교 복합화 등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핵심인 교수학습의 혁신을 위해 고교학점제, 2022미래형 교육과정 개정 등의 핵심정책들과 긴밀히 연계해 추진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이 지난해 7월 17일 오후 서울 강서구 공항고등학교에서 열린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계획' 발표 기자회견에 앞서 학교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준비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첫 도입시기가 2024년이고 고교학점제가 전면 적용되는 첫 해가 2025년으로 첫 번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완성시기와도 연계해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이달 중 대상학교를 선정하고 내년부터 공사를 시작한다.
한두 개의 건물 단위가 아닌 학교를 전체적으로 탈바꿈하는 학교 단위 사업으로 추진되며 첫 번째 완공된 미래학교는 2024년에 약 350개 학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기간 동안 학생들은 별도로 마련될 임시 교사에서 수업을 받게 되고 공사 기간은 리모델링만 한다면 1~2년, 개축이라면 3년까지 걸릴 수 있다.
유은혜 부총리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는 코로나 이후 교육 대전환을 현실로 만들어나갈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며 "새로운 미래교육 100년을 열어갈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에 대해 많이 격려하고 응원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