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가야 고분서 지배자 장신구 무더기 출토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고분서 장신구 온전히 확인된 최초 사례

63호분 석곽 내 피장자 꾸밈유물들(사진=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남 창녕의 가야 고분에서 금동관 등 지배자의 장신구가 무더기 출토됐다.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고분에서 장신구가 온전히 확인된 최초 사례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교동 Ⅱ군 63호분을 발굴조사해 금동관 등 비화가야 지배자의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중 미정비 지역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를 시행해 왔다. 지난해 11월, 39호분 봉토에 가려 도굴되지 않은 63호분 매장주체부(시신 안치하는 곳)를 연데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이번에 확인된 장신구 유물은 높이 21.5㎝ 금동관, 관에 드리운 금동 드리개와 금동 막대장식, 굵은고리귀걸이 1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 은 허리띠 등 지배자 몸에 둘렀던 상태의 꾸밈유물 일체다. 신발이 발견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지난 9월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장신구 일체와 비슷한 구성이다.

63호분 근경(사진=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장신구는 피장자 몸에 부착됐던 상태 그대로 발견됐다. 머리 부분에는 금동으로 만든 관, 양쪽 귀 부분에는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귀걸이 1쌍이 확인됐다. 목과 가슴에는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 만든 구슬 목걸이, 허리에는 은으로 만든 허리띠를 찼다. 손 부분에는 은반지가 확인됐다.

이들 유물이 출토된 63호분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로, 피장자의 머리 방향은 남향이다. 피장자 주변의 목질흔(木質痕)과 꺽쇠를 봤을 때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또한 피장자의 발치 아래에는 바닥을 40㎝ 정도 낮춘 공간(길이 220㎝, 너비 130㎝)이 확인됐다. 이 곳에는 순장자 2명이 안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순장자의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금동제의 가는고리 1점, 항아리 2점, 철부 2점, 철겸 1점이 출토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측은 "지금까지 비화가야 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진행된 약탈과 도굴로 당시 지배계층의 상징물이었던 금동관의 일부 편과 장신구만이 확인되었을 뿐 그 전모를 알 수 없었다"며 "이번 조사로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의례를 알고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다양한 문화가 혼재한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11월 5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발굴 당시 녹화한 동영상을 공개하고, 발굴단원이 참여하는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개최한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