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자 55% 재취업 또는 창업… 65% 심적 후유증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평균 월 252만원을 지출, 2/3는 생활비 28.7% 줄여
노후자금 충분하다고 답한 金퇴족 전체의 8.2%
금융.주택 등 다양한 노후자금 일찍부터 마련

(그래프=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 제공)

 

퇴직자의 절반 이상이 노후자금 마련 등을 위해 재취업을 하거나 창업전선에 뛰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또 퇴직자 2/3 정도는 퇴직 후 심적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생애금융보고서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은 서울 수도권(경기) 및 5대 광역시 거주자로, 생애 주된 직장에서 물러난 뒤 국민연금 수급 이전인 50대 이상의 퇴직자 1000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퇴직자들은 생활비로 평균 월 252만원을 지출하고 있으며, 전체 3명중 2명은 생활비를 28.7%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은 여유로운 생활수준을 위해 월 400만원 이상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평균 생활비인 2~300만원은 '남한테 아쉬운 소리 안하며 먹고 사는 정도'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생활비는 주로 경제활동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퇴직자 중 절반 이상인 55.1%는 재취업(37.2%)이나 창업(18.9%)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취업자 가운데서도 65%는 경제활동을 준비중인 취업 대기자였다. 배우자도 절반 이상인 58.6%은 일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구 단위로 보면 퇴직자의 경제활동 비중은 84.8%로 훨씬 놓아졌다. 또 퇴직자 중 36.4%는 일을 그만두면 당장 또는 1년 이내에 형편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걱정을 안고 있었다.

노후대비를 위해서 54.2%는 평균 월 110만원을 저축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걱정은 '앞으로 늘어날 의료비'(71.7%)와 '노후자금 부족'(62.0%), '자녀의 결혼비용'(56.2%) 등이었다.

퇴직자 중 65%는 직장에서 물러난 뒤 심적인 후유증을 겪고 있었으며 이는 생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후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가족과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한다.

보고서는 퇴직자들 가운데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스스로 평가한 사람들을 '금(金)퇴족'으로 정의했으며 이는 전체 응답자 가운데 8.2%를 차지했다.

金퇴족이 될 수 있었던 비결을 살펴보면 우선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 같은 연금에 일찍 가입하여 노후준비 완성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나타났다.

金퇴족의 연금 가입률은 30대 초반에 이미 28.0%를 보였으며 40대부터는 46.3%가 연금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했다. 반면 일반 퇴직자의 30대 이전 연금 가입률이 20.4%였고, 40대 후반에도 32.0%에 머물렀다.

다음으로 金퇴족은 일찍부터 투자금융자산을 활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金퇴족 4명 중 1명(26.8%)은 25세 이전부터 주식·펀드·파생상품 등으로도 노후자금을 운용한 경험이 있었다.

30대 후반부터는 절반정도인 47.6%가 투자금융상품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나 金퇴족은 다른 퇴직자에 비해 투자관련 지식이나 정보수준에서 자신감이 있는 편이었다.

또, 金퇴족 92.7%는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애 첫 주택 마련도 빨라 46.0%가 35세가 되기 전에 첫 주택을 마련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