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유승민 전 대표(사진=연합뉴스)
바른미래당 유승민 전 대표는 오는 16일 5주기를 맞는 세월호 사건과 관련, “5년이 지났지만 그날의 아픔은 그대로”라고 소회를 밝혔다.
유 전 대표는 “지난주 김진명 전 단원고 교장선생님의 인터뷰를 보고 마음이 아팠다”면서 “‘동료 교사와 제자들이 희생된 사고가 정치적으로 이용당할 수 있다는 생각에 두려웠다’고 토로하기도 했다”며 인터뷰 내용을 소개했다. 세월호가 사건 당시 여야 구도에서 야당의 정치공세에 활용됐었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그는 그러면서 천안함 생존자인 한 이등병 수병이 “세월호가 인양되는 모습을 보면서 너무 힘들고 괴로웠다”고 했던 고백을 인용했다. “10년 전 3월 26일의 천안함, 5년 전 4월 16일의 세월호. 둘 다 깊은 슬픔과 아픔을 남겼다”며 “단원고 학생들이 내 자식 같아서 슬펐고, 천안함 수병들이 내 아들 같아 슬펐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세월호와 천안함 사건 둘 다 비극임에도 진보와 보수 진영이 각각의 사건에 다른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유 전 대표는 “세월호와 천안함. 정작 당사자들은 이렇게 말하는데 왜 우리 사회와 정치권은 서로 갈라져서 분열과 반목과 상호 비난을 멈추지 않는 것이냐”며 “두 비극이 더욱 가슴 아픈 것은 우리 사회가 둘로 갈라져 서로에게 생채기를 내어왔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어떤 죽음이 더 슬프고 덜 슬플 수 있겠느냐”고 되물은 뒤 “정치권부터 비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유혹에서 벗어나 공동체의 통합과 치유의 길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전 대표는 지난 2015년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 원내대표 재임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당의 국회법 개정 협상안을 수용했다가, 박근혜 전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로 낙인찍힌 뒤 결국 원내대표 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당시 국회법 개정안의 핵심은 상위의 법률과 정부의 시행령이 충돌할 경우 국회가 시행령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게 한 것이었다. 이 법안의 개정 필요성은 당시 박근혜 정부가 시행령을 통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기간 연장을 불허됐기 때문에 제기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