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3·1 운동의 주역 '북문안교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3·1 운동 100주년 특별 기획]<광주 3·1 운동의 빛이 된 기독교인> 5편

광주 3·1 운동 위해 모인 10명 중 7명 북문안교회 교인
의병과 유생 조직 와해된 상황이 기독교계가 3·1 운동 앞장서는 계기

1910년대 북문안교회

 

북문안교회는 광주 3·1 운동을 주도한 광주제중원과 기독교 학교, 교회 등 3개의 큰 축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북문안교회가 광주지역의 유일한 교회였던 점을 고려할 때 광주제중원 직원과 기독교 학교의 학생이나 교사였던 사람들 대부분은 북문안교회 신도였기 때문이다.

북문안교회는 1904년 미국 남장로회 소속 유진벨 선교사의 임시 사택에서 200여 명이 모여 첫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됐다. 1905년 1대 담임목사로 취임한 유진벨 선교사는 당시 광주 북문안 사창골에 50여 평 크기의 목조 건물을 신축해 교회로 사용했다. 이후 광주제중원과 기독교 학교가 세워지면서 현 광주 남구 일원은 광주 기독교의 선교지로 발돋움하게 된다.

광주제일교회 등에 따르면 광주 3·1 운동은 1919년 2월 말 김필수 목사가 최흥종과 김복현을 만나기 위해 광주로 내려오면서 본격화된다. 당시 3·1 운동거사준비위원회로부터 광주 3·1운동 관련 지시를 받은 김필수 목사는 광주에서 최흥종과 김복현 등을 만난다. 김 목사를 만난 최흥종과 김복현은 광주 3·1 운동의 총책임을 맡기로 하고 3월 2일 서울로 올라가 광주전남 출신 일본 유학생들을 만나 광주 3·1 운동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이끌지를 논의했다.

최흥종이 3월 5일 서울에서 열린 3·1 운동에 참여했다 붙잡히면서 여관에 머물던 김복현은 3‧1 독립선언서와 격문, 독립가 등 5종류의 문서를 서둘러 챙겨 광주로 내려온다. 전남 나주 출신으로 광주지역 정세에 밝지 못했던 김복현은 김강에게 도움을 청한다. 광주 북문안 교회 2대 장로로 3·1 운동이 일어나기 2년 전인 1917년 평양신학교에 입학해 평양을 오고 가면서 여러 소식을 접하고 있었던 남궁혁은 자신의 집을 광주 3·1운동 모의 장소로 제공한다. 이 사실이 탄로나면서 남궁혁은 일제에 검거돼 1년간 옥고를 치러야 했다.

이 당시 남궁혁의 집에 모인 10명 중 김복현, 김강, 최병준, 강석봉, 한길상, 최정두, 김태열 등이 북문안교회 교인이었다. 이 자리에서 김복현은 3·1 독립선언서 등을 보여주며 서울 등 다른 지역의 독립운동 상황을 설명했다. 김복현은 광주 3·1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독립선언서 등을 인쇄해 배포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참석자들은 이에 동의했다. 이 날 남궁혁의 집에서는 '8일 큰 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운동을 개시한다', '독립선언서 등의 인쇄는 시내 조선인 청년이 담당한다', '인쇄 용기는 숭일학교 소장의 등사판을 사용한다', '최병준, 손인식, 송흥진은 숭일학교 생도를 담당한다.‘ 등의 내용이 결정됐다.

이후 북문안교회 교인 상당수가 광주 3·1 운동에 참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일제는 북문안교회 터를 환수하고 예배당을 봉쇄한다. 이에 북문안교회 교인들은 예배당을 뜯어다가 남문 밖에 옮겨짓고 예배를 드린다.

1919년 당시 광주 기독교인은 전체 지역민의 2~3%에 불과했지만 3·1 운동과 관련해 검거돼 처벌받은 인원은 전체 인원의 53%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북문안 교회 등의 기독교계가 광주 3·1 운동을 주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비교적 명확하다고 판단하다. 한규무 광주대 교수는 "일제에 의해 의병과 유생 조직이 와해된 상황에서 신문물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조직을 꾸릴 수 있는 단체는 기독교계밖에 없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북문안교회는 3·1 운동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글 싣는 순서
※광주CBS의 [3·1 운동 100주년 특별 기획]<광주 3·1="" 운동의="" 빛이="" 된="" 기독교인=""> 오늘은 다섯 번째 순서로 광주 3·1 운동을 주도한 기독교인들의 활약을 북문안교회를 중심으로 보도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광주전남 3·1 운동 기폭제 '조선독립광주신문'
②호남 3·1 운동의 구심점 '광주제중원'
③호남 3·1 운동의 선봉장 '숭일학교'
④광주 3·1 운동에 앞장선 '남도의 유관순들'
⑤광주 3·1 운동의 주역 '북문안교회'
계속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