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구타·성폭력 낳은 체육계 절대권력의 칼 '국위선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국위선양 미명 권력 유지 '침묵의 카르텔' 방관"
"'선수들을 짐승처럼 대하고 훈련시켜라' 압박도"
"구시대적 주류 바뀌지 않으면 대책도 소용 없다"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지난 15일 오전 송파구 방이동 서울올핌픽파크텔에서 열린 이사회에 참석해 최근 불거진 체육계 (성)폭력 문제에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

 

체육계 내부 구타와 성폭력이 공고한 구시대적 절대권력 아래 만연하고 있다는 지적이 높게 인다. '국위선양'이라는 미명 아래 우리 사회는 그 권력이 유지·재생산 되는 침묵의 카르텔을 방관해 왔다는 것이다.

'침묵의 카르텔 체육계 성폭력'을 주제로 지난 15일 방송된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한 스포츠평론가 최동호는 이 문제를 두고 "기득권, 체육권력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한국 스포츠 전체로 봐도 마찬가지고 각 종목별 연맹이나 협회 하나를 들여다봐도 마찬가지다. 이번에 빙상연맹과 같이 대형 사건이 터지는 연맹이나 협회일수록 공통점이 있다. 절대권력이 있다는 것이다. 절대권력을 행사하는 인물이 있고 그를 중심으로 기득권이 형성된다."

최동호는 "이 기득권은 자신의 권력을 계속 유지하고 공유하고 재생산해야 한다"며 진단을 이어갔다.

"여기에서 자기들 기득권 내에 포섭하는 선수나 코치들을 육성해야 하는데, 어떻게 보면 잔인하다고 느껴지는 것이 지난해 폭행 가해자인 조(재범 쇼트트랙 대표팀) 전 코치가 국정감사장에 편지를 보냈다. 그 편지 속에서 자신이 전명규 (빙상연맹) 부회장으로부터 성적에 대한 압박을 받고 폭행을 가하라고, 자신도 연구실에서 맞았다고 증언했다. 기존 기득권 입장에서 보면 코치를 자기가 데려와야 하는데 아무나 데려오지 않는다. 코치들에게 (선수들에 대한) 폭행을 지시하는 것이, 십자가 밟기처럼 지시를 내리고 그 과정에서 폭행을 거치고 올라온 코치들을 선발한다는 이야기다."

그는 "만약에 10명 코치들에게 성적을 내기 위해 (선수들을) 때리라고 했는데, 양심상 때리지 못한 코치는, 야생 세계에서 절벽에 떨어진 새끼를 버리듯이, 이러한 악성적이고 잔인한 방법으로 기득권을 가져간다"고 지적했다.

"여기에서 만약에 사고를 친다면 (해당 코치를) 보호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조재범 전 코치도 2011년 승부조작 건이 있었는데도 다시 복귀한 것이다. 이런 것을 선수들이 잘못 학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학습효과가 나타나니까 마음대로 말을 꺼내지 못하는 것이다."

최동호는 "이 모든 것을 내부에서는 다 알고 있다. 2차적으로 언론이나 스포츠에 관심 갖고 있는 분들도 알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을 입다물게 하는 한 가지 단어가 있다"며 "그것이 '국위선양'"이라고 지적했다.

"이 나라에서 스포츠의 유일한 효용, '국위선양을 위해 그럴 수도 있지'라고 (용납된다). 그리고 성적을 내면 순간적으로 지나가게 되니까. 이것을 정치권에서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정치권력이 왜 여태 손을 대지 않았냐 하면, 스포츠에서 인권보다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가져오는 것이 권력자 입장에서 보면 정치적 선전 효과가 훨씬 더 크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렇게 전체적인 구조가 잡히다보니 스포츠에서는 인권 개념이 자꾸 제거돼 왔던 것이다."

◇ "한국 사회 민주화 물결에도 체육계 권위적인 주류 교체된 적 없다"

사진=MBC '100분 토론' 방송 화면 갈무리

 

이날 토론에 함께 자리한 전 쇼트트랙 국가대표 주민진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직접 보고 들은 것은 아니지만, 소름끼쳤던 것은 누군가를 이용해 압박을 가하는 패턴, 누군가를 정신병에 걸릴 정도로 겁을 줘야 한다는 말, 그런 패턴들이 내가 당했던 것과 유사했기 때문"이라며 말을 이었다.

"배후에서 계속해서 그런 식으로 누군가를 도구처럼 이용해 모든 일을 진행해 오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선수 때는 아니고 비슷한 주문을 받았던 적이 있다. 내가 태릉선수촌에서 코치 생활을 하고 있을 때 따로 나를 부른 적이 있었고, 그때 나에게 '선수들을 짐승 같이 대해서 짐승 같이 훈련시켜야 한다, 안 되는 것을 되게 하려면'이라고 압박을 가했다. 그리고 어떤 의도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비밀 이메일을 쓰자는 말을 했다. 여기서 처음 말씀드린다."

주 전 선수는 "나는 그대로 따르지 않았다. 빙상연맹 코치직이 1년 계약"이라며 "그 1년 계약이 끝날 때 다른 선생님들이 '인사를 드려야 하지 않냐'는 말을 한다. 국제대회를 다녀와서도 '전화로 인사를 드려야 하지 않느냐'라는 말들을 한다"고 했다.

이어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고, 1년 계약으로 끝이 났다. 그 다음에 올림픽이 있는 해에 다른 코치가 왔고, 그 다음해 올림픽이 끝난 뒤에 내가 코치 생활을 다시 1년을 하게 된 일이 있다"며 "그러한 정황만 봐도 항상 뒤에서 뭔가를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그때 많이 알게 됐다"고 부연했다.

주 전 선수는 "엘리트 체육계에서 금메달을 딴 것은 가장 성공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설명을 이어갔다.

"고삐에 끌려가듯이 자기 의지와 상관 없이 강요에 의해, 폭행에 의해 딴 금메달의 가치와 창의성·인권 등 선수가 스스로 목표를 갖고 의지로 이뤄낸 금메달의 가치를 비교해 봤을 때 얼마나 많은 차이가 있나. 분명 자기 의지로 금메달을 따고 운동을 한 선수가 얼음판 위에서도, 인생에서도 더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내가 올림픽 금메달을 땄을 때 그 순간에는 굉장히 기뻤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힘들었던 기억, 많이 맞았던 기억 밖에는 나지 않더라"라며 "그것이 지나고 나서는 허탈함, '나에게 지금 금메달이 생겼는데 내 안에 남아 있는 것은 뭐지' '어떻게 여기까지 왔지'라는 허망함이 컸다. 그래서 20대 초반에 굉장히 많은 방황을 했고 공황장애를 앓았고 사실 지금도 간헐적으로 공황장애가 찾아오기도 한다"고 전했다.

최동호는 "모든 문제는 사람이라고 본다. 이론적인 대책도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소용 없다"며 "가장 큰 문제는 우리나라 체육계에 지성이 박탈되면서 체육계에 시민사회가 형성되지 못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몸에만, 신체적인 퍼포먼스에만 매달려 왔다는 것이다. 1980년대까지는 체육은 물론 우리 사회 전반이 권위적이었다. 그런데 80년대 이후 민주화 물결을 걸어오면서, 1990년대 DJ·노무현 정부 때 시민사회가 등장하면서 인권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고, 개인의 가치를 주장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도 체육계 주류는 교체된 적이 없다."

그는 "정치권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메달 잘 따는 사람이니까. 여태까지 체육계는 메달로 자신의 효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주류 행세를 하고 있다"며 "이들을 국가주의 대 개인주의, 성적·메달 대 인권·공정성·스포츠 가치를 주장하는 이들로 (구분하고 후자로) 교체가 돼야만 체육계가 바뀐다"고 강조했다.

"그렇지 않으면 인권센터 만들어놔도 여론에 밀려서 인권 흉내만 내는, 구시대적 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이 인권센터장으로 오면 오히려 인권센터가 면죄부를 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적 청산, 이 부분에서는 체육계 내부에서 할 일이 많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