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박종민 기자/노컷뉴스)
산업통상자원부에 항공 전담조직을 설치하는 등 미래 신산업 투자를 확대하고, 기존 주력 산업군은 맞춤형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조업 활력 회복과 혁신'을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의 내년도 업무계획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산업부는 업무계획 수립에 앞서 업계 및 전문가 등과의 사전협의 등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한 결과,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성장엔진인 제조업의 혁신을 통해 경제활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현재의 제조업 위기는 누적된 구조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판단 하에 단기 처방을 넘어 단지와 중장기를 아우르는 종합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우선 단기적인 지역별 활력 회복 프로젝트로서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이 확산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1분기까지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전북과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산업과 고용이 위기에 처한 지역에 대해서는 14개 활력 회복 프로젝트를 추진해 2022년까지 2만 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기존 주력 제조업 혁신 전략으로는 글로벌 경쟁력과 시장 활력을 기준으로 4개 산업군별 맞춤형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소재·부품·장비의 경우 2001년 특별법 제정 등 그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핵심 분야의 대외 경쟁력이 여전히 낮다고 평가하고, 매년 1조원 연구개발(R&D) 투자 등 대대적인 투자와 개발 방식 전환으로 자립화를 넘어 글로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의 경우는 후발국의 추격과 핵심 기술 및 인력 유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위기의식 속에 대규모 투자와 차세대 기술 선점을 지원함으로써 추월 불가능한 '초격차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자동차·조선의 경우는 협력업체들의 당면한 위기극복과 함께 미래 트렌드인 친환경‧스마트화로의 산업생태계 개편을 가속화해 재도약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섬유·가전 산업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전통산업을 첨단 스마트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복안이 제시됐다.
미래 신산업 분야에선 청년들에게 제조업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안겨주기 위해 과감한 도전이 강조됐다.
최근 현대·기아자동차가 대규모 투자를 선언한 수소경제의 경우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생태계를 목표로 세웠다.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 보급을 통한 규모의 경제 조기 실현 등 청사진이 제시됐고, 다음 달 중 이를 종합한 '수소경제 로드맵'이 발표될 예정이다.
태양광 발전 등 에너지 분야에서도 에너지 효율과 원전 해체, 전력중개사업 등 다양한 신산업을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태양광 성능 고도화와 풍력 4대 부품의 경쟁력 제고, 원전해체연구소 입지선정 및 설립방안 확정(내년 3월), 소규모 재생에너지 전력중개시장 개설(내년 2월) 등의 일정이 예정돼있다.
항공산업의 경우는 산업부에 항공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항공산업 발전전략'을 내년 중 발표하기로 했다.
내년 중에 3차원 무인 모빌리티인 '개인용 자율항공기' 개발에 착수하고, 2021년에는 민수용 헬기 국제공동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로봇산업의 경우는 시장형성 단계에 있는 서비스 로봇산업에 대해 국민의 삶의 질과 연계된 수요확대, 금융지원, 전문기업 육성 등으로 시장을 활성화하고 '로봇 제품의 일상화'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내년에 100억원을 배정하는 등 매년 산업R&D의 일정 부분을 미래세대를 위한 대도전 과제(Grand Challenge)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상과제나 선정방법, 평가방식 등을 담은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추진전략'을 내년 상반기에 발표할 계획이다.
알키미스트(Alchemist)는 철로 금을 만들려던 노력은 실패했지만 그 과정에서 근대 화학의 씨앗을 틔운 그리스 연금술사를 뜻한다.
이 프로젝트는 성공과 실패의 판정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산업적 파급력이 얼마나 큰지를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생산 시스템의 대대적 혁신도 추진한다.
제조업이 밀집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고 10개 산업단지를 미래형 교통·에너지·환경 인프라를 갖춘 스마트 단지로 전환한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가업승계제도 개선과 규제 혁신 등을 통해 도전적 기업가 정신을 복원하기 위한 정책 노력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