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라디오가 TV에 밀리던 시대 '옛말'…"혁신 온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나치게 TV 중심으로 기운 방송정책…"라디오 잠재적·현재적 수요 여전"
"명확히 자리잡지 못해 온 라디오 정책 선도하는 자문기구 설치 꼭 필요"

(사진=자료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그간 TV 중심으로 흘러 온 방송정책 탓에 주변부로 밀려났던 라디오가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뉴미디어와 접목된 혁신 매체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 명확히 자리잡지 못했던 우리나라 라디오 정책의 혁신을 주도할 관련 자문기구를 설치해 새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국회 언론공정성 실현 모임·공공미디어연구소·한국언론학회 방송과 뉴미디어연구회 공동 주최로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라디오 혁신을 위한 정책 자문기구 설치 및 운용 방안' 정책 토론회의 주제 발표를 맡은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정준희 겸임교수는 먼저 한국과 영국의 라디오 청취 환경을 비교 분석하며 문제점을 끄집어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두 나라의 일주일간 라디오 도달률은 영국이 90%인 데 반해 한국은 30~4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용자 역시 영국이 성별·연령·지역 전반에 폭넓게 분포한 것과 달리, 한국은 자동차를 이용하거나 집에서 혼자 라디오를 틀어놓는 30~60대에 집중됐다.

영국은 DAB(디지털오디오방송) 수신기 보급률과 함께 이용 점유율도 크게 증가했는데, 젊은층을 중심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이용률도 상승 중이다.

이와 달리 한국은 자동차 아날로그 수신기를 통한 라디오 이용이 2017년 현재 82%로 압도적이다. 스마트폰 등을 통한 온라인 이용이 일정 부분 차지하고 있으나 생각 외로 증가세가 약하다.

정 교수는 두 나라 사이 차이 원인으로 △차별화된 서비스 △공공-상업 부문의 균형 배치 △장르·매체 측면의 차별화 △신규 매체에서의 공적 대안 △공적 서비스 강화 △정책과 법제 등을 꼽았다.

그는 "영국에서 라디오는 대단히 중심적인 공적 서비스 영역으로 간주되는데, 공영방송 BBC의 경우 전체 예산의 5분의 1가량을 라디오·음성 서비스 제작·운영에 투입한다"며 "영국 정부 역시 1996년 방송법, 2003년 커뮤니케이션법, 2010년 디지털경제법 등 라디오 혁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정책을 입안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방송정책은 지나치게 TV 중심으로 기울어 있어 라디오가 주변부 서비스로 취급됨으로써, 정부는 물론 방송사 스스로도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을 하지 않는다"며 "비록 라디오 서비스 공급·이용은 위축돼 있으나 그에 대한 잠재적·현재적 수요는 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스마트폰 이용 확대는 굳이 DAB 수신기 같은 별로 기기를 확신시키지 않고도 라디오 서비스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성숙시킨다. 공영방송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신뢰성 높은 '뉴미디어' 라디오 서비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한편, 이것이 해당 서비스에 대한 대중적 확신을 제고시킴으로써 기타 시장 행위자의 동참을 유도해야 한다."

◇ 정책자문기구, 정부산업-시민사회 거버넌스 기구로 설치해야"

정 교수는 "신생 미디어 환경에도 부합할 라디오의 혁신과 부흥의 계기는 상당 부분 정부·공공에 의해 촉발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라디오 정책의 입안을 선도하는 자문기구 설치가 꼭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라디오 혁신을 위한 정책 자문기구 설치 및 운용 방안' 정책 토론회/CBS 신희중

 

앞서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제4기 방송통신위원회 비전·주요 정책과제와 지난 1월 방송통신위원회 업무계획 '국민이 중심 되는 방송통신을 통해 미디어 다양성 증진에 목적을 둔 라디오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국내 라디오 산업 현실 진단과 해외 사례 조사·분석 등을 통한 정책방향 논의를 위해 전문가 연구반을 구성·운영하고, 11월에는 이 연구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라디오 정책 자문기구를 설치한다.

정 교수는 "국내 라디오 산업은 공적 재원에 바탕을 둔 무료보편적 공공서비스로서도, 상업적 재원에 근거를 둔 시장 서비스로서도 명확히 자리잡지 못했다"며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팟캐스트 등을 포함한 멀티플랫폼 라디오 서비스 이용 행태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안정적 조사 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결국 "공공 부분의 선도, 상업 부문의 효율성과 경쟁력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전반적인 시장 재편과 책무 부여, 광고·소유 겸영 규제 제도의 전향적인 재고 역시 수반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다.

그는 특히 "현행 방송법 체제 하에서 시행령을 통해 '라디오 혁신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산업-시민사회 거버넌스 기구로서 정책자문기구를 설치해야 한다"며 "이 정책 자문기구의 운영·진행과 동시에 최대한으로는 방송법의 개정 혹은 통합 미디어법 마련, 최소치로는 라디오 혁신 지원 특별법의 한시적 제정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이 기구를 통해 △디지털 라디오로의 전환 방안 △이를 위한 주파수 정책 검토 △광고 제도 개선 등을 포함한 재정 충당 정책 검토 △혁신적 음향·음성 융합 서비스 방안 협의 등이 수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