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SK에너지· GS칼텍스,주유소 택배 '홈픽' 런칭…"협력 관계 구축 첫 사업"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양사 "주유소 네트워크∙역량 활용, 신규사업 발굴· 사회적 가치 창출 목표"
대기업 자산 활용 협업 첫 모델 C2C 택배 서비스 …"택배 접수∙대기시간 단축 기대"

 

SK에너지와 GS칼텍스는 양사의 핵심 자산인 주유소 네트워크와 보유 자산을 결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첫 협력 모델로 'C2C 기반 택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양사는 이를 위해 스타트업과의 상생 생태계 조성,주유소 공간의 새로운 활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주유소를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확산을 목표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양사는 주유소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 등을 활용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양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양사는 이번 주유소 자산 협력 외에 보유 자산 모두를 대상으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도 검토하기로 했다.

국내 석유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대표적 두 기업이 과거의 경쟁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공유 인프라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선언함에 따라 산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양사는 1차적으로 양사 주유소를 거점으로 한 C2C(Customer to Customer) 택배 집하 서비스 '홈픽(Homepick)'을 런칭하기로 하고, 이달부터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홈픽은 C2C 택배시장의 높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집하 부담으로 인해 물품 발송에서 수령까지 택배 접수∙대기 시간이 길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C2C 방식의 택배 서비스는 현재 택배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B2C 방식의 택배와는 달리 개인간의 택배를 전문으로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의 택배 시스템에서는 택배를 부치는 개인 입장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홈픽은 C2C 택배에 특화된 서비스로써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홈픽을 이용하는 고객이 네이버, 카카오톡, CJ대한통운 앱, 홈픽 홈페이지 등으로 택배를 접수하면 중간 집하업체 물류 스타트업이 1시간 이내에 고객을 찾아가 물품을 픽업해 거점 주유소에 집하·보관하고, 이를 CJ대한통운이 배송지까지 운송하는 체계로 이뤄진다.

양사는 "이를 통해 택배회사는 집하 부담 및 배송시간이 단축돼 물류 효율성이 높아지고, 고객들은 기다리는 시간과 비용을 아끼기 위해 무거운 택배 물품을 들고 우체국이나 편의점까지 찾아가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주유소 입장에서도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류 판매, 세차 등 제한적인 서비스만 제공하던 주유소 공간에 물류 허브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유휴 공간 활용을 통한 추가 수익 창출이 가능해 질 뿐 아니라, 향후 새로운 비즈니스로 진출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양사는 "주유소 인프라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양사의 공통 지향점이 이번 제휴 사업으로 발전하게 됐고, 국내 최대 규모의 주유소 네트워크를 보유한 양사가 의기투합한 만큼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홈픽을 이용하는 고객 입장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택배를 통한 가치가 창출되어 정유사-주유소-고객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홈픽 택배 서비스는 9월 중 전국권 서비스 예정이며,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5:5 비율로 주유소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향후 양사는 홈픽 서비스와 더불어 전국의 주유소를 기반으로 한 주유소 물류 허브화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0

0

전체 댓글 2

새로고침
  • NAVERRam12024-06-28 12:52:40신고

    추천0비추천0

    수출경제 특성상 가장 가까운나라와 공급망을 유지하면 경쟁력 측면에선 좋죠 경제학으로 보면 그거보다 좋은건없겠으나 상대는 공산당입니다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한국을 중국의 일부라고 말한걸 잊으면안됩니다 중공은 이 공급망마저 침략시 자신들의 유리함을 차지하기 위해 이용하기 뻔하기 때문이죠 얼마전까지 그래왔구요 바로앞 이득만보고 움직이다가 초가삼간 다 타버릴수가있습니다

  • NAVERrompang2024-06-27 16:26:53신고

    추천0비추천1

    무역이란 본질적으로 서로가 대등한 위치에서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교류하는 방법 아닐까요? 중간 중개업자나 완성체기업이 값싼 원자재를 들여와 마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국가 간 무역하는게 되어서는 안됩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산 원유가 싸고, 곡물을 쉽게 운송할 수 있어서 지금 러시아와 무역을 한다고 하면 얼마나 바보스럽고 이상한 그림이 나옵니까. 현재의 중국 공산당 체제는 한국의 무역상대로 부적절합니다. 이웃나라를 속국으로 만들궁리나 하고 안되면 갖가지 속임수나 편법을 써서 우회무역이나 시도하죠.한국의 안보와 통일에 방해역할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