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대중문화, 1980년대 ‘격동의 현대사’를 품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영화 ‘1987’, 뮤지컬 ‘광화문 연가’·‘모래시계’

국민이 촛불을 들고 광장으로 나서는 것으로 시작했던 정유년. 그 정유년 끝자락에 선보인 영화와 뮤지컬이 공교롭게도 1980년대 격동의 현대사를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 시기를 다룬 작품들이 그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연극도 아니고, 영화나 뮤지컬과 같은 대중적 작품으로 몰아서 나오는 상황 자체는 묘하기 그지없고, 한편으로는 흥미롭다.

◇ 영화 '1987'(감독 장준환)

 

영화 '1987' 스틸컷.

 

이때를 배경으로 한 작품 중 가장 대중적으로 손꼽히는 것은 지금 극장가에서 관객과 평단의 큰 호평을 받고 있는 영화 ‘1987’이다.

영화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시작으로 이한열 열사의 죽음까지, 그 몇 개월의 시간 동안 개개인이 각자의 위치에서 선택한 소신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면서 거대한 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지는 파문을 그린다.

영화의 매력은 과장되지 않은 연출에 있다. 한 인물이나 특정 사건을 의도적으로 부각하지 않고 담담하게 그린다.

이 과정을 통해 그 당시 살았던 개개인 모두가 당시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역사를 일군 주인공이었음을 상기시킨다.

◇ 뮤지컬 '광화문 연가'(연출 이지나, 작 고선웅)

뮤지컬 '광화문 연가'. (사진=CJ E&M 제공)

 

뮤지컬 ‘광화문 연가’도 이 시기를 시대 배경으로 삼는다. 하지만 영화와는 달리 시대를 주된 이야기로 다루지 않는다. 살짝 언급하는 정도이다.

‘붉은 노을’ ‘가로수 그늘 아래’ 등 故 이영훈 작곡가의 노래로 이루어진 주크박스 뮤지컬 ‘광화문 연가’는 제목만 봤을 때 이 시기를 배경으로 했다는 게 선뜻 연상되지 않는다.

뮤지컬은 병원에서 죽음을 앞둔 명우가 ‘월하’라는 신을 통해 과거 기억 속으로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가 큰 뼈대이다. 그 여행에서 명우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첫사랑 ‘수아’를 만난다. ‘첫사랑’은 ‘미련’이라는 감정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사진=CJ E&M 제공)

 

86학번이었던 명우가 한 살 연상이었던 수아와 멀어지게 된 계기는 그 시대와 연관 있다. 수민주화를 외치며 데모를 하다 백골단에 구타당하는 친구들을 외면할 수 없던 수아는 시위에 참여하고, 이때를 기점으로 명우와 조금씩 멀어진다.

공연에서는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지만, 고선웅 작가가 쓴 대본을 보면 학생들이 시위하는 이 시기는 ‘박종철 군 치사사건 규명을 위한 87년 2월 데모’라고 적혀 있다.

또 이 작품에 ‘시위’가 나오는 이유는 공간적 배경인 ‘광화문’과도 관련이 있다. 광화문은 80년대에도, 그리고 최근 촛불까지 민중이 모여들었던 ‘광장’으로서의 의미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뮤지컬 '모래시계'(연출 조광화, 작 박해림·오세혁)

뮤지컬 '모래시계' (사진=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뮤지컬 '모래시계'는 '광화문 연가'에 비해 시대상을 조금 더 뚜렷하게 담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이야기가 주된 것은 아니다.

작품은 혼란과 격변의 대한민국 현대사 속에서 안타깝게 얽혀버린 세 주인공 태수·우석·혜린의 우정과 사랑, 그리고 엇갈린 운명과 선택을 이야기한다.

대다수의 삶이 그러했지만, 민중은 돌풍처럼 격변하던 그 시대를 배경으로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휩쓸린다.

뮤지컬 ‘모래시계’는 위 두 작품보다 조금 더 앞선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가 배경이다. 이미 드라마를 통해 ‘모래시계’를 접한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80년 광주항쟁, 삼청교육대 90년대 초반 슬롯머신 비리사건까지가 은연중에 그려진다.

24부작 드라마를 2시간 분량의 뮤지컬로 압축해야 하기에, 드라마만큼 시대상을 담지는 않았다. 광주항쟁이나 삼청교육대 장면은 짧은 영상이나 넘버 중에 살짝 스쳐지나간다.

뮤지컬 '모래시계' (사진=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한 넘버를 통째로 사용해서 다루는 사건은 여주인공 ‘혜린’이 아버지의 방직공장 노동자로 위장 취업했다가, 카지노 사업을 위해 공장을 폐업하려는 아버지에 맞서 파업을 주도하는 장면이다.

극중에서 이 사건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시기가 언급되지 않지만 대략 70년대 후반으로, 이는 1978년 2월 동일방직 사건이나 1979년 8월 YH무역 농성 사건을 자연스레 연상시킨다.

이때 나오는 넘버가 바로 ‘뜨거운 양철지붕’이다.

“우리는 양철지붕의 고양이 / 한낮에 달궈진 양철지붕 / 사느라 뜨거운 양철지붕 / 살자니 뜨거워 춤을 춘다 / 즐거워 춤추는 무도회가 아냐 / 사느라 죽어라 춤을 춘다 / 행복에 춤추는 무도회가 아냐 / 사느라 죽어라 춤추는 팔자 / 살자니 아 뜨거 춤추는 신세 / 사느라 죽어라 춤추는 내 팔자 / 살자니 아 뜨거 춤추는 내 신세”

수많은 배우들이 함께 노래 부르며 스크럼을 짜는 등의 군무를 추는 모습은 보는 이들의 가슴을 뜨겁게 한다. 공연의 하이라이트로 꼽아도 과언이 아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