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5.18 재단 "국민들의 심성과 시대상황에 맞았던 노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정부가 그동안 임을 위한 행진곡 왜곡하고 재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로 시작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오는 18일 5·18 광주민주화운동기념식장에서 공식 제창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오후 청와대 위민관 집무실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와 제37주년 5·18 기념식 제창곡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지정해 부르도록 관련 부처에 지시했다고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이 노래가 기념식 공식 순서에 포함돼 제창되기는 정확히 9년만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제창됐다가 합창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에 5.18 단체들은 그동안 이 노래의 공식 제창을 요구하며 행사장에서 별도로 제창하거나 행사에 불참하는 등 강력히 반발해 왔다.

김양래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장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도록 한 것에 대해 아주 기쁘다고 소회를 밝혔다.

김 상임이사는 그러나 "이렇게 간단한 일이었는데 그동안 이 노래를 부르지 못하도록 한 것이 얼마나 잘못된 것이었느냐?"며 "정부가 그동안 국회 결의안 조차 무시하고 5월 광주민주화운동의 상징이 된 노래를 왜곡하고 재단했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임을 위한 행진곡'에 대해 "국민 심성과 시대 상황이 잘 표현돼 리듬과 가사가 자연스럽게 일반 대중에게 녹아들었고 그래서 5월 광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노래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그동안 이 노래를 5·18 기념식장에서 제창하지 못하도록 해왔다.

제창은 행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불러야 하지만 합창은 별도의 합창단이 노래를 부르면 나머지 참석자는 따라 부르지 않아도 무방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36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해 5월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거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행진했다.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5·18 기념식의 주무부처인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두고 종북 논란이 있다는 이유로 제창에 반대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으로 지정하는 데도 반대해 왔다.

김 상임이사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북한에서 만들어졌다는 등의 얘기는 모두 거짓말이고 종북 논란과도 전혀 관련이 없는데 그동안 그렇게 됐다"며 "이제라도 다같이 부를 수 있게 돼 다행이다"고 말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주화운동으로 희생된 고(故) 윤상원과 그의 야학 동료교사였던 고(故) 박기순의 영혼 결혼식에서 불린 노래다.

윤상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대변인 역할을 맡았고 1980년 5월 27일 전라남도청에서 계엄군의 총에 맞아 숨졌다.

박기순은 윤상원과 함께 '들불 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다 1978년 불의의 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2년 2월 두 사람의 유해를 광주 망월동 공동묘지에 합장하며 영혼 결혼식을 거행할 때 처음 공개된 노래로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옥중 장편시를 바탕으로 작가 황석영이 가사를 쓰고 윤상원의 전남대 후배인 김종률이 곡을 쓴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엄혹했던 80년대, 군사정권 타도를 외치던 대학가와 노동운동 현장에서 거의 애국가처럼 불리면서 이른바 '데모현장'을 상징하는 곡이 됐고 일반 대중들에게도 친숙한 노래가 됐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