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중 6곳만 4월 5일 식목행사11곳 앞당겨 심어"식목일 3월로 변경해야" 여론…산림청 "역사성 고려해 현행 유지""식목일 행사는 언제 열릴까요?"정부가 정한 식목일 법정 기념일은 4월 5일이지만, 지역에 따라 답이 다르다. 식목행사가 지역마다 다른 시기에 열리기 때문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4월 5일에 나무 심기 등 식목일 행사를 치르는 자치단체는 충남도, 대전시, 경남도, 전남도, 전북도, 세종시 등 6곳뿐이다.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35%만 식목일에 맞춰 나무 심기 행사를 하는 것이다.
나머지 11개 시·도는 이미 식목행사를 마쳤다.
제주도는 지난달 7일 나무 심기를 했다. 울산시(3월 17일,) 광주시(3월 20일), 경북도(3월 21일), 대구시(3월 23일), 부산시(3월 25일), 충북·경기도(3월 30일)도 지난달 마쳤다. 인천시와 서울시 역시 지난 1일 공무원, 주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식목일 행사를 치렀다.
전국에서 식목일 행사를 가장 늦게 하는 자치단체는 강원도로 다음 달 7일이다. 제주와 비교하면 무려 한 달의 차이가 있다.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별 식목일 행사는 더 천차만별이다. 자치단체마다 자율적으로 식목일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법정 기념일이 있는데도 식목일 행사가 지역마다 서로 다른 이유는 지구 온난화 등 환경의 변화로 나무를 심는 시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식목일은 올해로 제정된 지 72년을 맞았다. 그동안 지구 온난화로 인해 식목일이 제정될 당시인 1946년 당시 4월의 평균기온이 최근에는 3월 중순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식목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됐다.
이미 싹이 트고 잎이 나는 4월보다 앞서 나무를 심어야 하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4월에 심은 나무는 수분 스트레스를 받게 돼 활착률이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 주장이다.
그러나 산림청은 식목일을 바꾸지 않고 현행대로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역사적 의미를 고려할 때 70여 년 전에 정한 기념일을 바꾸는 것이 꼭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산림청 설명이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인 2009년 국무회의에 식목일 변경안이 상정되기도 했으나 70년 넘게 이어온 국가기념일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난 바 있다.
당시 국무회의는 식목일의 상징성과 향후 통일까지 고려해 현행대로 유지하되 기온 변화를 고려해 나무 심기 시기는 지자체마다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산림청의 한 관계자는 "(식목일) 날짜를 변경하면 많은 홍보 비용과 불필요한 행정력이 낭비될 수 있다"며 "식목일은 기념일로 받아들이고, 지역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나무를 심으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