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이어 붙인 김'이 미술관에 등장한 까닭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서울시립미술관 'X: 90년대 한국미술'전

김성배, '김- 먹을수 있는 평면', 1987(2016 재제작)

 

김성배의 설치 작품 <김-먹을수 있는="" 평면="">은 실제로 먹을 수 있는 김을 이어 붙여 만든 설치 작업으로 1987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이 작품을 통해 80년대 중반까지 위세를 떨치던 단색화가 가진 엄숙주의를 전복시키는 작가 특유의 전략을 엿볼 수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X: 90년대 한국미술'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 미술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한 1990년대를 화두로 삼아 동시대 한국 미술의 미학적, 문화사적 의미를 성찰하고자 한다.

이 전시가 다루는 90년대는 1987년부터 1996년에 이르는 10년간으로, 87 민주화항쟁과 88 서울올림픽, 동구권의 몰락, 김영삼 정부 출범과 김일성 사망,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등의 사건들로 얼룩진 과잉과 상실, 그리고 붕괴와 도약의 시기였다. 이 전시는 1990년대를 현대미술의 이름으로 촉발시키면서 포스트모더니즘, 글로벌리즘으로 일컬어지는 동시대 미술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고 그것이 오늘날 미술에 끼친 영향과 그 역학 관계를 살펴본다.

1990년대의 이정표적 징후들, 즉 70년대 모더니즘이나 80년대 민중미술과 차별화되는 90년대 특유의 시대정신은 이 시대를 대변하는 X세대 또는 신세대 작가들의 탈이데올로기적 창작 활동을 통해 드러난다. 설치미술, 테크놀로지, 대중매체, 하위문화 등 당시의 다양한 문화적 코드들을 저항적이고 실험적인 미술 언어로 재무장한 이들의 활동은 독특한 개성을 자랑하는 소그룹 운동과 주요 개별 작가들의 활동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는 1990년대의 '앙팡테리블'로 한국 미술계의 지형을 바꾸어놓은 X세대 주역들의 미술사적 업적을 재조명한다.

박불똥, '풍요와 빈곤- 마이클 잭슨과 레닌',1991(2016년 재제작)

 

'X: 1990년대 한국미술'전은 뮤지엄, 서브클럽, 진달래, 30캐럿 등의 소그룹 운동과 소위 신세대 작가로 불리웠던 개별 작가들이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재제작한 당시 주요 작품과 관련 자료 아카이브, 대중문화와 뉴테크놀로지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이슈 제기로 주목받았던 주요 전시의 재연, 그리고 새로운 창작 에너지의 발원지였던 홍대와 신촌 등의 카페 공간을 편집 · 재구성한 섹션이 펼쳐진다.

90년대에 X세대로 불린 신세대 작가의 다수는 단발적 프로젝트를 위해 이합집산하는 소그룹 활동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프로젝트의 주제에 따라 구성원, 매체, 전시 방식이 변화하는 임시적, 일시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번 전시에서 90년대를 대표하는 소그룹으로는 극단적인 실험주의와 이전 세대와의 미학적 단절을 내세운 뮤지엄, 미술・출판・퍼포먼스・음악 등 다양한 탈장르가 결합된 새로운 전시 방식과 형식을 실험한 프로젝트 그룹인 서브클럽, 포스터와 같은 사회적 소통의 방식으로서의 디자인과 시각 이미지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추구했던 진달래, 신세대 여성작가로서 ‘나’로부터 출발한 정체성을 고민했던 30캐럿 등의 활동을 과거 작품의 재제작 및 아카이브 형식으로 소개한다.

이동기, 무제(데모,광주, 자유,사랑, 죽음) -1996 외

 

이번 전시는 ‘키치’ ‘언더그라운드’ ‘테크놀로지’ ‘대중문화’ ‘세계화’라는 다섯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1990년대 새로운 흐름들을 이끌었던 전시들과 관련 자료들, 그리고 전시의 일부를 전시장에 펼쳐낸다.

대표적으로 압구정동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미술의 개념을 일상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각문화 전반으로 확대하는 전시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1992, 갤러리아백화점미술관), 과학기술의 발전에 빠르게 동화되어가는 우리 시대 문화를 다뤘던 전시 <가설의 정원="">(1992, 금호미술관)가 주요 작가들의 작품, 전시 카탈로그나 관련 사진, 영상 등의 아카이브 자료들과 함께 조명된다. 이를 통해 90년대를 관통하는 정치, 사회, 문화의 흐름들과 전시(미술)의 역사가 어떤 접점을 맺는가를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90년대 미술의 특성 중 하나는 바로 회화 중심에서 벗어나 설치, 영상, 퍼포먼스 등의 새로운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작품이 대거 등장했던 점이다. 퍼포먼스는 일시적인 행위 이후 사라지고, 영상작품은 저장 기술의 변천에 따라, 설치 작품의 경우 큰 규모 때문에 그 보관이 쉽지 않다는 현실적인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작품들 중 상당수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전시를 위해 많은 참여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재제작하거나, 과거 작업을 담은 영상 기록물을 선보인다. 이와 더불어, 한 세대를 건너뛴 후배작가 Sasa[44], 김익현, 최윤, 김영은이 한국 미술에 있어 동시대성이 발현했던 90년대에 대한 자료들을 새롭게 재구성, 재해석한 아카이브 작품들이 전시장에 함께 구성된다.

<1990년대 이후- 동시대미술 읽기> 학술 심포지움이 14일 오후 1시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세마홀에서 열린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