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된 부산영화제, '보이콧' 영화인들 행동 나설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난해 10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제 21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의 개막이 약 2주 앞으로 다가왔다.

현재까지 보이콧을 철회하지 않고 있는 곳은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영화인 비대위) 소속 총 4개 단체,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등이다.

과연 이들은 어떻게 부산영화제를 준비하고 있을지 이야기를 들어봤다.

◇ 단체는 '보이콧', 개인 입장은 '존중'

4개 단체의 공통적인 입장은 이렇다. 단체는 '보이콧'을 유지하지만 단체에 속한 개인들의 참여 의지까지는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관계자는 "보이콧을 유지하기로 한 단체들과 그렇지 않은 단체들이 사실 방법적인 측면에서 다를 뿐이지 아직까지 부산영화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데는 맥을 같이 한다"면서 "조합원 개인이 영화제에 참석하는 것을 단체가 나서서 막을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영화감독조합과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도 이와 맥락을 같이 했다.

한국영화감독조합 측은 "보이콧을 철회하기로 결정한 감독들이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참여 감독들 또한 우리 조합의 보이콧 결정을 존중하고 있다. 개인 판단에 맡겨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측은 "일반 스태프들은 그다지 주목받는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단체는 보이콧을 고수하지만 개인의 참석은 자율에 맡긴 상태"라고 이야기했다.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은 참석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4~5명 조합원과 '불참'으로 의견 조율을 마쳤다. 그러나 개인 자격의 비공식적인 참석까지는 선택에 맡기고 있다.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관계자는 "영화제 흥을 돋우는 영화학교 강사, 부일영화상 시상식 등의 부대 행사에 공식적 참가를 하지 않도록 고지를 한 상태"라며 "출품 자체는 제작자나 배급사들에게 권한이 있기 때문에 초대가 오면 자제하는 방안으로 가자고 이야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영화를 감상하거나 술 한 잔 하는 것은 자유다. 일단 단체가 보이콧을 결정했으니 행동에 신경을 쓰고, 이런 상황을 유념해달라고는 했지만 강제성은 없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긴급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 참여 감독들, 유감 표명 가능성

4개 단체 모두 단체 차원의 피켓 시위나 행동은 계획하고 있지 않다. 최종적으로 부산시에 책임이 있는 이번 사태를 두고, 영화계 내부 갈등이 심화되길 원하지 않아서다.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관계자는 "영화제 측에서 영화인들에게 협조를 요청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보이콧 행동을 강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생각해 볼 지점이 있다. 단체에서는 '불참'의 형태로만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보이콧이 내년까지 장기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 영화제를 위기에 빠뜨린 장본인, 서병수 부산시장이 잘못을 시인하지 않고,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을 비롯한 영화제 관계자들이 개인적 불명예로 고초를 겪고 있는 상황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영화제를 축제로 즐기기 힘들다는 이야기다.

이 관계자는 "만약 이 같은 문제가 내년에도 원상복귀되지 않으면 다시 보이콧을 결정해야 되는 순간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올해 적극적인 행동으로 승부를 보거나 하기가 애매하다"고 말했다.

한국영화감독조합은 부득이하게 참석을 결정한 감독들에게 세부적인 지침 사항을 전달한 상태다.

한국영화감독조합 관계자는 "참석 감독들을 위해 내부적으로 결정한 세부 지침이 있다. 지침의 자세한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얼마든지 개인 의사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만큼, 올해 부산영화제에 참석하는 감독들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유감을 표명할 가능성도 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