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에서 부채를 뺀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지난해 2.2%로, 6.1%를 기록한 가계의 3분의 1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를 근거로 순자산의 개념이 사내 유보금과 사실상 같은 것인 만큼,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기업 사내유보금 환수 등의 논쟁을 자제할 것을 7일 강조했다.
대기업의 사내 유보금의 규모와 증가율이 가계보다도 훨씬 적은 수준이니, 대기업이 사내 유보금을 쌓아놓고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일각의 비판은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전경련이 한국은행의 국민대차대조표를 이용해 경제주체별 자산현황 및 시계열 추이를 비교한 결과, 2008년부터 2015년까지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가계를 상회한 횟수는 7개 연도 중 2회, 2011년과 2014년에 그쳤다.
또 가계의 순자산은 2008년 4899조원에서 2015년 7176조원으로 연평균 5.6%씩 늘은 반면 기업의 순자산은 1112조원에서 1467조원으로 연평균 4.0%씩 늘어나, 가계의 순자산 증가속도가 기업보다 빨랐다.
2015년만 보면 가계가 보유한 순자산은 기업의 4.9배에 달한 반면, 가계의 자산은 9598조원으로 기업(5922.4조원)의 1.5배에 그쳤다. 전경련은 자산과 순자산 간 격차가 큰 것은 기업이 다른 주체보다 부채를 많이 지는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가계와 기업이 생산 활동을 지속해 소득을 창출하고 경제가 별다른 충격 없이 성장하는 한, 순자산 규모는 계속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국은행의 순자산은 유보금과 비슷한 개념"이라며 "가계든 기업이든 유보금이 늘어나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는 한 당연한 것으로, 사내유보금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사내유보금 환수 등의 논쟁을 자제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