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생산자도 소비자도 '친환경 농산물' 외면, 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재배면적 1년 사이 30% 이상 급감

 

NOCUTBIZ
요즘 음식을 소재로 한 방송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건강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많아지고 있다. 유기농 야채, 무농약 쌀 등 친환경농산물이 비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정부도 농민들에게 친환경농산물 재배를 권장하며 각종 지원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와 재배면적은 오히려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힘들게 유기농을 지어봤자 제값도 못 받고 갈수록 판로확보도 어려워지면서 농사를 아예 포기하는 농민들이 늘고 있다.

◇ 돈 안 되는 친환경농산물…생산 농민, 재배면적 감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친환경 인증농가는 2013년 10만4천 가구에서 2014년에는 6만8천 농가로 1년 사이에 34.6%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도 2013년 11만9천ha에서 2014년에는 8만3천ha로 30.3%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체 경지면적에서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7%에서 2014년에는 4.9%로 축소됐다.

농민들이 힘들게 농사를 지어도 판매가 되지 않는 친환경농산물을 더 이상 재배하지 않고 포기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로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 쌀의 경우 기존의 방식대로 농약도 치고 화학비료 등을 사용해 농사를 지으면 10a당 순수익이 27만5천 원인 반면, 유기농 방식으로 농사를 지으면 1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의 경우도 기존 방식을 사용하면 10a당 순수익이 304만 원이지만 무농약 방식으로 사용하면 265만 원으로 감소했다.

◇ 믿지 못 할 친환경농산물…소비자들도 외면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거래 규모는 지난 2014년 기준 1조5,659억 원으로 지난 2013년 보다 무려 14.8%나 감소했다.

친환경농산물 가운데 곡류가 5,095억 원으로 전체의 32.5%를 차지하며 가장 많고, 채소류가 4,146억 원(26.5%), 과실류가 1,062억 원(6.8%) 등의 순이다.

이처럼 친환경농산물의 거래 규모가 줄어든 이유는 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친환경농산물은 그동안 유기농, 저농약, 무농약 등 세 가지 인증단계로 소비자들에게 큰 혼란을 줬다. 다행히 올해부터는 저농약이 폐지되면서 두 가지로 줄었으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단어에서 혼란을 느끼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 박사는 “최근에는 GAP와 햅썹(HACCP)이라는 안전성 개념의 인증이 새롭게 등장해서 건강성을 강조하는 친환경농산물의 특성과 혼동돼 아예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 구입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더구나 친환경농산물은 대부분 생산자단체와 소비자단체가 직거래를 기반으로 판로가 형성돼 수요 증가 속도가 생산의 증가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급 불균형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내산 친환경농산물이 가공식품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제조업체들이 국내산 친환경농산물의 원가가 너무 비싸다는 이유로 해외 친환경농산물을 수입해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가공식품 업체들은 이러면서 제품에는 친환경농산물을 원료로 표기하고 있다.

특히, 국내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이 전남지역에 49%가 몰리면서 충남과 전북, 경북 등은 3% 안팎에 머물러 상대적으로 소비가 많은 수도권지역에서 유통비용이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 친환경농산물 2020년까지 2배 규모로 증가 전망

정부는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통해 적극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친환경농산물이 침체기에 접어들었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결국에는 소비와 생산 모두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농경연은 친환경농산물 거래 규모가 2014년 1조5,659억 원에서 올해 1조8,753억 원, 2020년에는 2조7,618억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쌀의 경우 친환경 시장규모가 2014년 5,095억 원에서 2020년에는 7,834억 원으로 54%가 증가하고, 채소류는 4,146억 원에서 7,479억 원으로 80%나 급증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 박사는 “우리 농업이 친환경농산물 중심으로 전환돼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며 “친환경농산물이 비싸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생산비와 물류비를 줄일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