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면서 은행권의 부실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부실채권 정리를 강조하고 있지만 은행들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해 부실채권 정리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밝힌 지난해 국내 은행의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26조5천억 원으로 2014년보다 15% 늘었다.
특히 대기업 부실채권이 2014년 7조원의 두배 가량인 13조원이 늘면서 전체 은행 부실채권 규모를 키웠다.
경기 둔화로 인해 조선 건설 철강업황이 전세계적으로 악화되며 국내 대기업이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취약업종의 채권을 많이 보유한 산업은행의 경우 부실 여신의 규모가 7조3천억 원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그러나 은행들의 부실채권 정리는 실망스러운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부실채권에 대해 미리 회계상 손실로 처리해 기업 부도에 따른 손실에 대비하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2010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농협은행의 경우 충당금 적립률이 60%에도 미치지 못했고, 산업은행도79%, 수출입은행 80%로 100% 미만에 그쳤다.
은행들의 수익성이 가파르게 악화되고 있어서 은행에게만 책임을 묻기도 어려운 형국이다.
금융연구원 이명활 기업부채연구센터장은 "금융당국이 인센티브 정책을 도입해서라도 은행이 신속하게 부실채권을 정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경기 둔화로 국내 주력 산업이 휘청이고 있는 만큼 새롭게 늘어날 부실채권에 대한 중장기적 대비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