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카이스트 등 5개 대학이 일제히 정부의 연구 업적 평가 체제에 대해 일침을 가했다.
15일 서울대 등에 따르면, 서울대와 카이스트,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등 5개 대학은 정부의 연구 평가체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공동선언문에 합의했다.
합의문에서 이들 대학은 ▲정량 지표 일변도인 연구 업적 평가를 지양하고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따른 정성평가 도입 ▲연구 본연의 가치가 평가되도록 평가체제 개선 ▲평가자 집단의 전문성 제고 등 크게 세 가지를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50여년간 선진국을 벤치마킹하고 그에 따라 정량적 목표를 설정해 추진하는 전략을 추진해왔지만, 이러한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이어 "연구 업적의 질을 보여주는 피인용도는 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며 "연구자들이 정량적 실적을 채우는 데 급급한 결과"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학술논문 수는 세계 10위권에 이르렀고, 세계대학순위 100위권에 드는 대학도 여럿 생긴 현시점에서 정량적 연구 실적 증가는 정체 상태에 머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국내에서 널리 통용되는 평가 기준인 SCI 국제학술지 논문 수와 'Impact Factor' 등 각종 정량 지표들이 오히려 독창적이고 모험적인 연구 과제를 막는 장애물로 본 것이다.
서울대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현재 연구평가 체제는 공정성 문제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전문성이 심각히 결여돼 있는 등 문제가 많다"며 "대학 연구와 문화가 선진화된 만큼 평가 체제도 바뀔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