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표 권한 공유" 러브콜… 安측 "혁신 의지 있나" 의구심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안철수 측 "문‧안‧박 연대 성격 등 불투명"…최고위 문제 등도 걸림돌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사진=윤창원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8일 ‘문재인‧안철수‧박원순(문‧안‧박) 연대’를 통한 공동지도부 체제를 공식제안하면서 '공'은 다시 안철수 의원에게 넘어갔다.

안 의원의 혁신요구에 대해 문 대표는 "백번 옳은 말씀"이라며 수용의사를 밝히며 '구애'에 나섰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자체장을 맡으면서 공동지도부에 참여하기 어렵다며 두 사람이 먼저 연대하라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문‧안‧박 연대의 성사 여부는 전적으로 안 의원의 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安측, "文, 진정성 부족"…비주류 반발 우려도

안철수 의원 측은 문 대표 제안에 대해 "당을 걱정하는 분들의 의견을 더 들어보겠다"는 짤막한 공식 반응을 내놨다.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한 진정성과 이를 통해 실제 당의 혁신을 이룰 수 있는지를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보면 (문 대표 제안이) 구체성이나 절박함이 떨어진다"면서 "임시지도부가 혁신을 하자는 것인지, 선거를 위한 기구인지도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더군다나 최고위 문제 등도 입장이 정리되지 않아 수용여부를 지금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다. 한마디로 아직 문 대표의 제안이 크게 와 닿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 대표는 안 대표의 주장에 대해 적극적인 공감을 표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이런 제안을 하면 안 의원이 받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문 대표가 좀 더 자신을 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 (사진=윤창원 기자)

 

한 중진 의원은 "문 대표가 안 의원에 대해 좀 더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평가했다.

문 대표가 당내 분란에 대해 내년 총선 공천 때문이라는 인식을 강하게 피력한 것도 비주류 의원들의 반발을 살 수 있는 대목이다.

한 최고위원은 "비주류 의원들을 거칠게 낙인찍은 것은 당의 통합과 단합을 위한 메시지로는 부적절했다"고 말했다.

안 의원도 나름 '중대 결심'을 위해 당 안팎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어서 어떤 결론을 내리느냐에 따라 문‧안‧박 연대 성사여부가 결정된다.

그가 내놓을 수 있는 선택지는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문 대표 제안을 수용하고 공동지도부에 합류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안 의원은 혁신 어젠다를 주도하며 당에서 입지를 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반대로 문 대표 제안이 자신이 구상했던 혁신을 추진하기에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거부할 수도 있다.

제3의 방식도 가능하다.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한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이후에는 내년 총선을 위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거나 극단적인 경우 탈당을 불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 대표가 러브콜을 보낸 마당에 안 대표가 '결별'을 선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박원순 서울시장 (사진=윤성호 기자)

 

◇박원순 미온적‧최고위 문제도 걸림돌

박원순 서울시장이 공동지도부 참여에 사실상 난색을 표한 점도 희망스크럼 구성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문 대표는 공동지도부 체제 아래서 총선을 치르자는 제안이지만, 서울시장으로서 선거에 직접 개입하는 건 현행법 위반 소지가 크다.

이 때문에 박 시장 측은 "서울시정에 중심을 두고 전념하면서 현행법이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돕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을 뿐이다. 시기적으로나 법률적으로나 제약이 따를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시장이 자신을 뺀 두 사람이 먼저 연대할 것을 주문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박 시장의 이런 사정은 안 의원의 결정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문 대표는 19일, 서울시청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공동간담회 직후 박 시장을 설득하기 위해 단독 회동할 예정이다.

당 내부로는 현행 지도부인 최고위를 어떻게 정리할지가 문제다. 문‧안‧박 3인 공동지도부체제가 들어서려면 현행 최고위원의 권한과 위상에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 이미 일부 최고위원들은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최고위와 협의도 없이 문‧안‧박 체제로 가겠다는 건 당헌상 불가능하다"며 "최고위원들과 협의도 없고, 오늘 아침까지도 말 하나 없고…"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오영식 최고위원도 문 대표의 발언 이후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희망스크럼’이 아니라 또 다른 지분나누기, 권력나누기가 아니냐라고 곡해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되는 대목"이라며 "더불어 최고위원들의 권한과 진퇴가 당사자들의 의사나 협의 없이 언급되고 있는 상황 또한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최고위원들 간의 정치적 합의로 당 대표의 권한을 위임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 그는 "필요하면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소집해 함께 논의하는 것도 가능하다"며 당헌‧당규 개정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럴 경우 현재 최고위원회는 형식적인 의결기구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문제들이 해결되더라도 문‧안‧박 연대가 과연 '화학적 결합'을 이룰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남는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