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최고령 탈북자 '강씨 연대기'…굴곡진 역사 타넘은 '모정'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신간 '나의 살던 고향은'…해방 뒤 전쟁·분단 속 개인의 아픔 오롯이 증언

나이 일흔다섯이던 2006년 탈북한 강순교 씨(사진=도서출판 행복에너지 제공)

 

거대한 역사의 파고를 타넘어 온 개인의 삶이 주는 여운은 언제나 강렬하다. 그 미시사 안에 현재의 우리네가 놓치고 사는 수많은 가치들이 오롯이 녹아 있는 까닭이다.

여기 피와 땀으로 점철된 한국 현대사의 굴곡을 온몸으로 증언하는 한 사람이 있다.

'제 이름은 강순교입니다. 저는 여든네 살의 할머니입니다. 북조선에서 탈출하여 중국에서 숨어 살던 저는 2006년에 한국에 왔습니다. 일흔다섯 살 때였습니다.'

신간 '나의 살던 고향은'(지은이 강순교·출판사 행복에너지)에서 '연어의 꿈'이라는 제목을 단 프롤로그는 이렇게 시작된다.

최고령 탈북자로 알려진 강순교 씨는 남측으로 온 이유에 대해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죽기 전에 어릴 적 바라보았던 새파란 고향 하늘을 다시 한 번 바라보는 것입니다. 이곳에서 단 한 번도 사람답게 살지 못했으나 죽음만은 적어도 사람답게 맞이하고 싶어서였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자유나 희망이라는 말을 단 한 번도 듣지 못했던 제 자식들에게 그 말을 마음껏 들려 주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1932년 경북 봉화군 법전리에서 태어난 강 씨는, 열두 살 되던 해인 1944년 부모와 함께 중국 헤이룽장(黑龍江) 성으로 이주해 농사로 생계를 이어갔다. 그곳에서 조국 해방을 맞이한 그녀는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술회한다.

'조선인 부락의 어른들은 목놓아 울고 외쳤지만 기쁨도 잠시, 저마다의 생각에 모두 다 침울해 했습니다. 이미 간도에 정착했기에 조선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중략)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버지는 이 간도에서 정착해 살기로 결심하셨습니다. 땅 하나 가져보지 못했던 고향보다는 새로운 것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이곳이 어쩌면 자식들을 위해서도 더 좋다고 애써 생각하셨던 것이었습니다. 아버지와 생각을 같이하신 어른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 놓고 고향 산천의 하늘을 향해 처량하게 아리랑을 부르셨습니다.' (46, 47쪽)

그렇게 해방 뒤 중국 땅에 남은 강 씨는 1950년 중국 내전 당시 공산당 팔로군의 간호사로 근무했다. 이를 계기로 한국전쟁에도 참전해 중공군과 북조선뿐 아니라 포로로 잡혀 온 남한 군인들의 부상도 치료했다.

'생과 사를 넘나드는 그곳에서 적군과 아군을 구분하는 일은 무의미했습니다. 대놓고 표현할 수는 없었지만 북조선이든 남한이든 조선인 출신 군인들이면 동포라는 생각에 조금이라도 더 신경을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붕대도 꼼꼼하게 감았고, 약도 더 챙겨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전장의 모습은 어김없이 잔인했습니다. 아직 앳된 남한 병사가 죽어가며 어머니를 부르던 모습을 저린 가슴으로 지켜보기도 했습니다.' (53쪽)

◇ "이렇게 분단이 오래갈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ㅣ강순교ㅣ행복에너지

 

한국전쟁이 휴전한 1954년 군을 제대한 강 씨는 중국에서 조선인 서찬선 씨와 결혼해 자식들을 낳았다.

강 씨 부부는 이국땅에서 사는 외로움과 소외감을 자식들에게 물려 주고 싶지 않은 마음에 조국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했단다. 하지만 조국은 전쟁 뒤 휴전선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남과 북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저와 남편의 고향이 있는 남한과 중국은 국교가 단절 되어서 갈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다행히도 북한으로 들어가는 것은 허용이 되는 상태였습니다. (중략) 어찌 됐든 북조선이라도 우리 조선 땅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었고, 북조선에 가면 곧 통일이 될 것이고 그때 고향으로 가도 충분하다고 믿었습니다. 사실 이렇게 분단이 오래갈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57, 58쪽)

1963년 북측 원산으로 이주한 강 씨 가족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남측 출신이라는 이유로 갖은 박해를 받았던 탓이란다. 1987년 남편을 먼저 보낸 그는 1998년 굶주림과 질병으로 큰아들까지 잃고 말았다. 생계를 유지하려 중국을 넘나들며 경제활동을 하던 강 씨는 노동교화소에 수감되기도 했다고 전한다.

'1990년대 말부터 북조선 사람들 중에 일부가 굶어 죽지 않기 위해 중국으로 가려고 국영을 넘기 시작했습니다. 사상이나 이념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오로지 밥 때문이었습니다.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갔고, 결국 남한으로 들어간 북조선 사람들의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처음에는 다른 나라로 가 버린 민족의 배신자들에 대한 비난의 강도는 강했습니다. 침을 뱉고 손가락질했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람들의 욕설은 조용해지기 시작했고, 손가락질의 힘도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116, 117쪽)

강 씨는 급기야 2004년 탈북을 결심하고 중국으로 완전히 이탈했다. 그리고 자식들을 데리고 남한으로 입국했다. 이 책은 남측으로 오는 길에 강 씨 가족이 겪었던 극심한 고초를 전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이를 이겨낼 수 있던 힘은 '모정'으로 귀결되는 모습이다.

'새끼들 입에 뭐라도 들어가는 것을 보니까 가슴이 뻥 뚫리는 것 같았습니다. 순간 제 뱃속에서도 꾸르륵 소리가 났습니다. 사실은 아이들을 주려고 저는 한 입도 대지 않았던 터라 목울대로 침이 꿀꺽꿀꺽 넘어가고 있었습니다. (중략) 이 세상에 제일 강한 존재는 어머니지만 이 세상에서 가장 독해질 수 있는 존재는 자식 잃은 어머니일 것입니다. 중국에 나갈 때마다 다 먹고살기 위해서라는 변명을 하면서 조국과 당에 죄책감을 느꼈던 태도들을 모조리 버리기로 마음먹었습니다.' (191, 192쪽)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