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안 잇따른 당내 반발…'연착륙' 가능할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장이 10일 오전 국회 대표회의실에서 혁신위원회 3차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연이어 권력구조 개편 등을 위한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지만 당내 반발은 오히려 연일 확산되는 분위기다.

혁신위는 의원 간담회 등을 통해 당내 의견을 수렴해 나가며 실제로 일부를 수정하기도 하는 등 중앙위원회 통과를 기대하고 있지만 최악의 경우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혁신위 안 중 특히 반발이 심한 부분은 내년 총선과 관련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위원과 5개 본부장 임명권한을 당 대표에게 준다는 부분이다. 인적 쇄신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부분인만큼 파장이 컸다.

지난 8일 발표된 2차 혁신안의 내용을 보면, 새정치연합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위원장을 당 대표가 임명하도록 했다. 또 사무총장직을 폐지하고 총무본부장·조직본부장 등 5개 본부장 체제로 개편했다.

이를 두고 의원들 사이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감지됐다.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당 대표에게만 권한이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주승용 의원은 10일 오전 혁신위·3선의원 조찬간담회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당헌을 개정하고 10일만에 중앙위에서 의결해달라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공론화 절차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여러 참석자의 말을 종합하면 초·재선 의원 간담회보다 3선 의원들 사이에서 더 강도높은 비판이 터져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 안을 두고 분당설마저 흘러나오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지원 의원은 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당 혁신위가 성공하면 우리 당내에서 가담할 인사는 극소수가 될 것이지만, 만약 혁신위가 미흡하다고 하면 가담인사가 증가하고 신당 창당은 (당 진로의) 변수로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특히 호남권 의원들의 경우 자신들을 배제하는데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을 것이다. '친노들의 혁신안'이 아니냐는 불신이 존재하는데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혁신위는 최대한 연착륙을 기대하며 조율해나가려는 모습이다. 당내 반발심리를 의식한 듯 2차 혁신안이 발표된지 이틀만에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은 '최고위의 의결을 거쳐' 대표가 임명한다는 내용으로 수정했다.

5개 본부장 체제에 대해서도 열린 가능성을 내비쳤다.

혁신위에 참여하고 있는 우원식 의원은 기자들에게 "(5개 본부장 체제에) 조정하는 기능이 없다고 하는데 두면 되고, 총무본부장을 선임본부장으로 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정권을 만들어 혼선을 극복할 수 있다. 큰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