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완치판정, 격리해제자도 추적관리해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금은 꺼진불도 다시 봐야할 시기

- 삼성서울병원발 환자 늘어나는 양상.
- 종식가능성 대비했지만 현재는 안개속.
- 이송요원 감염관리에서 배제, 경악할 상황.
- 통보 없어도 검사 요구 했어야. 직원교육 안 돼.
- 확진판정 받은 응급실 체류자가 삼성병원 의사?
- 삼성과 보건당국이 협의 후 발표 늦췄을 것.
- 완치자 혈장 치료법, 아직 대규모 연구 결과 없어.

(자료사진)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5년 6월 15일 (월) 오후 6시 10분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이재갑 교수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

◇ 정관용> 메르스 사태, 오늘의 상황 점검해봅니다. 대한의사협회 신종감염병 대응 T/F팀 위원장 맡고 계시고요.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의 이재갑 교수입니다. 이 교수님, 나와 계시죠?

◆ 이재갑> 네, 안녕하세요?

◇ 정관용> 삼성서울병원 관련해서 접촉관리자 4,075명, 기존격리자 5,216명 합치면 1만명에 육박하는데 그러면 삼성 관련된 4,075명은 전부 새로 나온 겁니까?

◆ 이재갑> 기존에 노출됐던 분 중에서 추가로 이송을 하시던 분이 확진되고 또 의사 분 한 분이 확진 추가됐잖아요. 그러면서 연장되는 부분도 일부 있을 거고요. 또 일부는 새롭게. 그 두 분의 동선을 확인해서 추가된 분들이 많습니다.

◇ 정관용> 아, 추가된 숫자가 그러니까 갑자기 몇 천명이 늘어난 것은 맞는 거죠?

◆ 이재갑> 네, 맞습니다. 한 분이 병동 여러 군데를 다녔기 때문에요. 그래서 훨씬 많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기존에는 격리대상자가 5,000명 좀 넘는다고 했는데 갑자기 1만명 가까이 된 거죠? 결론적으로는?

◆ 이재갑>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그게 지금 말씀해 주신 삼성서울병원의 그 이송요원 그 다음에 의사, 이런 사람들이 열이나 이런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9일이나 일주일 이상 정상근무를 했다, 이게 나중에 밝혀지면서 이렇게 된 것 아니겠습니까?

◆ 이재갑> 그렇죠. 상황이 그러면서 너무 커졌고 저희도 삼성발 환자발생이 줄어들고 있어서 어느 정도의 종식가능성을 대비하고 있었는데 이것 때문에 지금 전혀 완전히 안갯속에 갇히게 된 꼴이 됐습니다.

◇ 정관용> 그런데 바로 그 메르스에 걸린 환자를 이송한 요원 그리고 또 그런 환자들을 진찰한 의사, 이런 사람들이 왜 밀접접촉자 관리에서 빠졌습니까? 이거야말로 정말 잘 이해가 안 돼요.

◆ 이재갑> 그러게 말입니다. 그 상황이 밝혀지고 나서 저희도 사실 경악을 했고요. 게다가 이후에 환자이송을 계속 했었던 것으로 얘기를 들어서…

◇ 정관용> 그러니까요.

◆ 이재갑> 저희도 되게 답답한 상황입니다, 이 상황은.

◇ 정관용> 그거는 정부가 책임져야 돼요? 삼성서울병원이 책임져야 돼요? 어떻게 되는 겁니까?

◆ 이재갑> 그래서 어제 바로 삼성서울병원에서 바로 사과를 하고 책임지겠다고 얘기를 하긴 했는데 무슨 책임진다고 해결될 문제들도 아니잖아요. 또 그중에 사망할 수도 있는 환자들도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요. 일단 발생한 상황이니까 수습을 어떻게 하느냐가 지금은 사실 더 중요한 것 같고요. 그런데 그 이후에 어떤 잘못이 있었는지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물어야 될 것 같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이재갑 교수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그런 정말 관리대상이 되어야 할 사람들이 빠졌다?

◆ 이재갑> 네, 맞습니다.

◇ 정관용> 그리고 그 사람들이 확진으로 판정 났다?

◆ 이재갑> 그리고 게다가 관리자들이 빠졌더라도 본인 스스로가 그 당시에 응급실에서 근무한 것을 알고 있잖아요, 근무자들이. 그러니까 본인이 증상이 발생했으면 바로 자기가 그 노출자 통보를 받지 않았더라도 병원 측에 얘기를 해서 검사에 들어갔어야 하거든요.

◇ 정관용> 그렇죠.

◆ 이재갑> 그러니까 이건 직원교육도 잘 안 됐다는 얘기거든요.

◇ 정관용> 그러니까 그 점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이 전적으로 책임이 있는 것이고.
동시에 삼성서울병원한테만 그런 걸 그냥 알아서 하십시오라고 맡겨둔 보건당국도 책임을 면할 수가 없고, 그렇죠?

◆ 이재갑> 아, 그렇죠. 당연히 그거는 확인해서 빠진 사람 없는지 정말 지금 꺼진 불로 다시 봐야 되는 정말 섬세함을 보여야 되는 시기거든요. 환자들의 생명과도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요.

◇ 정관용> 알겠습니다. 삼성서울병원 관련해서 이것도 빼놓을 수 없는 질문인데 지난 6일이니까 벌써 한참 전에 확진판정 받은 62번 환자, 오늘에서야 삼성서울병원 의사란 사실이 지금 애매하게 밝혀졌는데요. 보건당국이 매일매일 브리핑을 하는데 이 환자에 대한 브리핑 내용은 응급실 체류자라고 표현했다는 거예요.

◆ 이재갑> 네.

◇ 정관용> 그건 무슨 뜻입니까, 응급실 체류자라는 건?

◆ 이재갑> 사실은 의사선생님들이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하게 되잖아요.

◇ 정관용> 그러니까요.

◆ 이재갑> 그러니까 거기에서 아마 응급실에 노출됐다고 얘기가 되는 것 같거든요.

◇ 정관용> 그러니까 의사란 얘기죠?

◆ 이재갑> 네, 그렇죠. 의사인데 노출이 된 건데 사실은 삼성병원 의사라고 기술이 돼 있었어야 되는 상황이기는 하죠.

◇ 정관용> 왜 그렇게 발표를 안 하고 응급실 체류자라고 발표했을까요?

◆ 이재갑> 그 부분은 삼성의료원에 물어보시는 게 답인 것 같고요.

◇ 정관용> 삼성의료원에게 물어봐야 합니까, 보건당국에 물어봐야 합니까?

◆ 이재갑> 양쪽에 다 물어봐야죠. 사실 이 책임에 대해서는 양쪽에서 분명히 협의를 해서 그 부분이 진행됐기 때문이죠.

◇ 정관용> 알겠습니다. 궁금증을 풀려 했는데 지금 못 풀고 있는 게 몇 가지가 있어요. 전부 다 삼성서울병원 관련입니다. 마지막까지 좀 봐야 되겠고 기저질환이 없는 분들은 그동안 괜찮다 했는데 사망하신 분 가운데 그런 분들이 막 나왔어요. 그건 어떻게 봐야 합니까?

◆ 이재갑> 일단 사실은 저희가 처음부터 말씀드렸던 고령환자가 다 고위험군에 해당됩니다. 60세 이상의 고령환자 자체도 만성질환이 없더라도 고위험군에 해당되고요. 거기에 만성질환이 있으면 더 위험하다, 이렇게 판단하시는 게 맞습니다.

◇ 정관용> 고령환자였다, 기저질환은 없었지만 고령환자였다?

◆ 이재갑> 네.

◇ 정관용> 그 다음에 또 젊은 분들은 안전하다 했는데 지금 기저질환이 없는 38세 확진자, 35세 평택경찰관, 두 사람 다 상태가 위중하다고요. 이분들은 그런데 고령환자도 아니지 않습니까?

◆ 이재갑> 그래서 이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젊은 사람들은 증상이 아주 다양하게 나타나기는 하거든요. 이 부분이 사스 때도 그렇고 그다음에 중동에서도 비슷한 상황들이 발생을 했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 중증으로 진행하는데 그 부분이 왜 어떤 사람은 진행하고 어떤 사람은 안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되어 있지 않거든요. 일부 환자들이 중증, 그게 이제 면역반응 자체가 오히려 젊어서 더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부 환자에서 그럴 수 있겠다라는 정도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면역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걸 뭐 전문용어로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고 그럽니까?

◆ 이재갑> 네, 사이토카인이 이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인자거든요, 몸 안에서. 그게 일부 환자에서 이렇게 젊은 사람에서 사이토카인이 너무 과다 분비되면서 사이토카인 자체가 오히려 염증을 악화시키고 피부전이나 심부전을 악화시킨다는 보고들이 있는데요. 비슷한 사례가 신종플루 때나 사스 때도 있었거든요.

◇ 정관용> 알겠고요. 그리고 완치된 환자의 혈액에서 혈장을 뽑아서 치료에 쓴다는 얘기 나오지 않습니까?

◆ 이재갑>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이거는 좀 기대할만 합니까, 어떻습니까?

◆ 이재갑> 에볼라 때라든지 사스 때 이미 시도가 됐었던 바가 있고요. 에볼라 때도 좀 도움을 받았다라는 기록이 있고 도움을 메르스 때도 중동 사례에서도 일부 환자들이 도움을 받았다라는 기록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지금은 딱 특정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는 신종감염병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일부 효과가 있을 수 있겠다 정도입니다.

◇ 정관용> 아직은 모르고요?

◆ 이재갑> 그러니까 그 부분은 이제 대규모로 어떻게 연구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 정관용> 지금 현재 그 혈장치료는 몇몇 환자한테 적용하고 있습니까?

◆ 이재갑> 현재 지금 두 명에게 적용됐고요. 추후에 지금 혹시 다른 중환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병원에서, 퇴원한 환자들도 자발적으로 공유하시겠다고 되게 뜻 깊은 분들이 많으시거든요.

◇ 정관용> 아이고, 고맙네요, 그분들…

◆ 이재갑> 그래서 그것들을 모아서 준비를 해놓았다가 필요한 사람에게 투여되는 그런 방식으로 준비 중입니다, 지금.

◇ 정관용> 현재 두 사람한테 치료제로 쓰고 있는데 그 효과는 아직은 말하기가 어렵고요?

◆ 이재갑> 네, 말하기 어려운데 사실 비교할 수가 없잖아요. 그런데 어쨌든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라는 얘기를 그러니까 중하긴 하지한 에크모(ECMO)로 시작할 때에 비해서는 조금 안정적이다라는 얘기들이 들려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조금 도움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은 듭니다.

◇ 정관용> 마지막 질문인데 사실은 제일 큰 질문이에요. 사우디 연구팀에 의하면 흔하지는 않지만 최대 6주까지 잠복기였던 환자도 있거든요. 그다음에 또 하나는 검사를 했다가 음성과 양성이 막 또 뒤죽박죽 나오는 경우도 있지 않습니까?

◆ 이재갑> 네, 그럴 수 있습니다.

◇ 정관용> 그래서 지금 2주가 지났다고 해서 또 검사해보니 음성이라고 해서 안심하고 다 격리해제를 시키거나 또 완치판정 받아서 퇴원하거나 이런 분들이 또 증상을 나타낼 우려는 없습니까?

◆ 이재갑> 현재 그렇게 다시 재발하고 이런 환자들이 있었던 건 아니기 때문에 그러니까 증상에 대한 부분에 대한 관리는 필요합니다. 퇴원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정기적으로 외래 다니시면서 확인을 받으셔야 되는 게 맞고요. 아직까지 그렇게 나았다가 다시 재발하거나 이런 상황은 보이지는 않고 있으니까 어떻든 간에 추적관리는 필요하다는 것은 맞습니다.

◇ 정관용> 완치됐다 하더라도 추적관리 대상이다?

◆ 이재갑> 네.

◇ 정관용> 그 다음에 2주 지났다고 해서 격리해제 되신 분, 이분들도 그냥 완전히 마음 놓고 있을 수는 없는 거죠?

◆ 이재갑> 최장잠복기를 2주로 보기는 보는데요. 말씀하신 대로 조금 늘어나는 환자들도 있잖아요, 지금 발생자에서. 그렇기 때문에 어쨌든 간에 2주 안에 특별히 문제없으면 대부분 크게 문제는 없겠지만 일부 환자도 있을 수 있으니까 적어도 잠복기 끝났다고 해서 2, 3일 이내에 열이 나면 일단은 보건당국에 신고하고 검사를 받는 게 맞기는 맞습니다.

◇ 정관용> 어쨌든 오늘 상황은 삼성서울병원으로 인해서 갑자기 몇 천명이 늘어났고 그분들이 늘어나게 된 원인이 되는 이송관리자 또 의사 이런 사람들이 증상 중에도 일했다고 하는 것이 지난 9일인가 이렇게 되니까 2주라고 따지면 사실 한 23, 24일 이때까지를 더 지켜봐야 되는 거죠?

◆ 이재갑> 그렇게 된 거죠, 상황이.

◇ 정관용> 참 답답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이재갑> 네, 감사합니다.

◇ 정관용> 대한의사협회 신종감염병 대응T/F팀 위원장, 이재갑 교수였습니다.

[CBS 시사자키 홈페이지 바로 가기]

2

0

전체 댓글 6

새로고침
  • NAVER튜니티2022-04-13 07:59:57신고

    추천6비추천3

    "윤가네, 윤가네 부역자들(떡껌,돈검,개검), 국가의 짐당, 정의(가장-진보팔이 수뢰)당,조중동과 수많은 기레기와 기레기집단" VS 민주당

  • NAVERgksrnrdls2022-04-13 07:51:45신고

    추천10비추천7

    동네에 불량배들 때문에 주민들이 불편했던적이 있었는데
    검찰이 정상화 된다니 속이 시원하다
    검찰이란 조직에서 없는죄 만들고 있는죄 무죄로 만드는 미다스의 손이 아니었는지 성찰해봐라
    역사속으로 영원히 다시는 생겨나지 말아야할 조직이다
    민주당의원들에게 격려를 아낌없이 보낸다

  • NAVER돌박사2022-04-13 07:26:47신고

    추천9비추천5

    민주당의 결정에 쌍수를 들어 환영한다.
    일각에서는 지방선거, 국회의원 선거 등 염려하는 모양새도 있으나, 선거에서 이긴다한들 이전 따위로 일할 바엔, 지는 게 낫다.
    180석이란 전무후무한 거대 의석을 갖고 뭣했던가? 대깨문들만 끌어안고, 논공행상 잔치만 벌리지 않았었나?
    만시지탄이지만, 이제라도 본연의 자세로 돌아간 듯해서 심히 기쁘다.
    검찰의 무소불위한 칼날아래, 숱한 부들이 스러졌다.
    노무현 대통령님을 기억이나 하는가? 누가 죽였는가? 그대들은 노무현 대통령님을 기억한다고 해놓고 정권에 취해 당과 나라를 망쳤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