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밀접'의 거리는…홍콩과 한국 '한끗발 차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홍콩이 '메르스 밀접 접촉자'로 분류한 한국인이 어떤 제지도 없이 한국을 떠나 홍콩에 다시 입국해 논란이다.

우리 정부는 이 남성이 국내 기준으로는 격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해명을 내놨지만, 홍콩 당국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홍콩 보건당국은 1일(현지시각) 메르스 격리 대상자로 분류한 한국인이 또다시 홍콩에 입국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메르스 의심 증상을 띤 채 홍콩으로 출국했다가 중국 현지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J(44)씨에 이어 두 번째다.

이 남성은 J씨와 같은 항공편으로 홍콩에 도착했다가 귀국한 뒤, 1일 다시 홍콩으로 출국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대책본부는 이 남성이 별 문제 없이 출국할 수 있던 이유에 대해 "한국과 홍콩의 격리 대상자 선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홍콩 기준으로는 이 남성이 기내에서 J씨 인근에 앉았던 '밀접 접촉자'로 분류되지만, 한국 기준으로는 제외된다는 것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한국은 기내에서 메르스 의심자를 기준으로 앞·뒤·좌·우 3열까지 앉았던 승객들을 밀접 접촉자로 분류한다.

반면 홍콩은 메르스 의심자가 앉은 좌석이 있는 열을 포함해 앞·뒤 2열의 전체 승객을 밀접 접촉자로 분류한다.

따라서 이 남성은 홍콩 기준으로는 밀접 접촉자인 29명에 포함되지만, 한국 기준으로는 좌석 1개 차이로 대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사진제공=보건복지부)

 



결국 J씨 '인근'을 어디까지로 볼 것이냐를 놓고 국제적 기준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발생국'인 우리 정부의 조치가 불충분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제보건기구(WHO)의 규칙에도 기내에서 전염병 환자와 밀접 접촉한 대상을 선정하는 별도의 기준이 없다"며 "각 국가에서 임의로 기준을 세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 정부가 '격리 대상자'로 선정한 인원은 총 750여 명 수준으로, 법무부는 이들에 대한 출국 금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