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행복지수는 '꼴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변이철의 검색어 트렌드 18]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

 

[CBS 라디오 '뉴스로 여는 아침 김덕기입니다']

■ 방 송 : CBS FM 98.1 (06:00~07:00)
■ 방송일 : 2015년 3월 19일 (목) 오전 6:38-47(9분간)
■ 진 행 : 김덕기 앵커
■ 출 연 : 변이철 (CBS 노컷뉴스 문화연예팀장)

▶ 오늘 소개할 검색어 키워드는 어떤 겁니까?

= 예, 오늘 소개할 검색어는 이겁니다.

[인서트] 동요 '꽃밭에서'

▶ 아빠하고 나하고 놀던 꽃밭에…. '꽃밭에서'라는 동요 아닌가요?

예 3월 새 학기가 시작된 지도 이제 3주가 됐네요. 우리 아이들이 설레는 마음으로 한창 새 친구를 사귈 때인데요.

오늘은 동심으로 돌아가 ‘동요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 검색어 키워드는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로 정했습니다.

지난 2007년 9월 방송출연을 위해 목동 CBS를 찾은 고 권길상 선생(우)

 

▶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 그러고 보니, 동요를 요즘 안불러요.

= 그렇습니다. 김덕기 앵커께서도 방금 들으신 '꽃밭에서'를 어렸을 때 많이 부르셨을 텐데요.

사실 이 ‘동요’를 작곡한 권길상 선생께서 지난 주(13일) 미국에서 향년 88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습니다.

권길상 선생께서는 ‘꽃밭에서’ 뿐 아니라 ‘과꽃’, ‘둥근달’, ‘스승의 은혜’와 같은 너무나 아름다운 동요를 많이 만드셨는데요.

제가 동요이야기를 준비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꽃밭에서’가 1953년도 작품이니까 권 선생님의 동요사랑 인생도 60년을 훨씬 넘었는데요. 어린시절의 추억을 되살리면서 ‘과꽃’도 한번 들어보시죠.

[인서트] 동요 ‘과꽃’

▶ 어효선 작사, 권길상 작곡 '과꽃'…. 동요는 언제 들어도 참 사람 마음을 맑게 해주는 것 같아요.

= 정말 그렇죠. 방금 들었지만 2절에는 이런 가사들도 나오거든. “과꽃 예쁜 곳을 들여다보면 꽃 속에 누나 얼굴 떠오릅니다.”

저도 더 늦기 전에 '제 딸과 꽃과 관련된 추억을 빨리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도 드는 데요.

이렇게 동요는 곡도 참 아름답지만 가사 또한 자연과 가족 간의 사랑을 담아 더 오래도록 가슴에 기억되는 것 같습니다.

밤늦게 학원 수업을 마친 어린이들.(자료사진)

 

▶ 변이철의 검색어 트렌드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라고 했는데 요즘 우리 아이들이 동요와 많이 멀어진 것 같아요.

= 최근 그와 관련된 글을 한편 읽었는데요. 글쓴이는 매주 토요일마다 초등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우리 역사와 신화 읽기’를 가르치는 강삽니다.

집중력이 떨어졌다 싶을 때 ‘동요 한 곡 부르자’고 제안했더니, 아이들이 인기 가수의 이름을 연호하면서 ‘대중가요를 부르자’고 조르더랍니다. 그러더니 급기야 ‘우~’ 하고 야유까지 했다는 내용인데요.

요즘 장기자랑과 같은 학교행사에서도 동요를 부르는 아이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 ‘동요를 잃어버린 아이들’... 왜 이렇게 됐을까요?

= 우리 어린이들이 ‘동요’를 멀리 하고 ‘대중가요’에 빠져드는 것이 ‘자발적인 선택’은 아니거든요.

오히려 그만큼 어린이들이 모바일이나 인터넷, 방송 등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텐데요. 아이들이 대중가요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인데 반해 동요는 그렇지 못하다는 거죠.

또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시간과 공간이 없다’... 이것도 아이들이 동요와 멀어지는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

동요를 부르며 대문놀이를 하는 아이들(출처=유튜브)

 

▶ '아이들이 마음껏 놀지 못해 동요와 멀어졌다'는 이야긴가요?

= 그렇습니다. 관련해서 지난 2013년 이오덕동요제 참가곡인 ‘여덟 살의 꿈’을 소개해드리고 싶은 데요. 초등학교 1학년이 지은 시에다 곡을 붙여 당시 큰 화제가 됐었습니다.

“나는 사립초등학교를 나와서 국제중학교를 나와서 민사고를 나와서 하버드대를 갈꺼다. 그래 그래서 나는 내가 하고 싶은 정말 하고 싶은 미용사가 될거다” 이런 내용입니다.

정말 이 아이가 '입시지옥'에서 해방돼 마음껏 놀면서 꿈을 키워간다면, 많은 동요들이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오지 않겠습니까?

사실 아이들의 노래는 함께 어울려 놀면서 만들어지고 공유되고 그래서 자연스럽게 체화되는 것이거든요.

▶ 예전에 즐겨 불렀던 동요들 가운데는 정말 놀이와 관련된 게 많았던 것 같아요.

= 그렇습니다. 우선 여자아이들이 즐겨했던 ‘고무줄 놀이’도 ‘퐁당퐁당’ 같은 동요에 맞춰 했죠.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 이 노래도 ‘모래 집짓기’하면서 불렀던 겁니다.

‘동동~ 동대문을 열어라’ 이 동요는 대문놀이를 하면서 불렀고요. 친구들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죽었니 살았니?“하면 ”살았다!“하면서 막 잡으러 쫓아가던 기억도 새롭습니다.

또 친구들과 어깨동무 하고 “우리 집에 왜 왔니 왜 왔니”하면서 앞으로 나가면 상대편 친구들이 뒤로 물러서던 추억도 생각이 나네요.

그런데 이렇게 친구들과 재밌게 뛰어놀 시간이 없으니 동요를 부를 기회도 없어지는 거죠.

또 아파트 숲과 학원건물을 오가며 생활하다보니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동요가 아이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낯설 수도 있을 겁니다.

 

▶ 동요를 잃어버린 세대... 행복도 같이 잃어버린 건 아닐까요?

= 그렇습니다. 대한민국 어린이들의 행복지수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도 ‘꼴찌’ 수준인데요.

2012년 자료를 보니까 OECD 평균 행복지수가 100인데 우리는 69였습니다. 우리보다 한 단계 위인 헝가리는 84를 기록했는데 헝가리와도 차이가 아주 컸습니다. 한마디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 '기성세대'의 책임이 큰 것 같은데... 아이들에게 어떻게 동요를 되찾아줄 수 있을까요?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