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만 원 웃돈 주며 팔려해도 안 팔려
- 구제역 혐오로 국산 소비 줄어
- 축산농민 자살도 속출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경기도 안성 육우농가 최현주 씨, 전국한우협회 임관빈 서울인천경기도지회장
송아지 한 마리에 1만 원이라면 믿기십니까? 사실 식당에 가면 아직도 소고기가 비싸기 때문에 도시민들은 전혀 몰랐던 이야기인데요. 지금 축산농가의 고민이 심각하다고 합니다. 심지어 어제는 전북 순창의 한 농가에서 사료 값이 없어서 소 9마리가 굶어죽는 일까지 발생했다는데 먼저 축산농가의 얘기 들어보죠. 경기도 안성에서 육우농가를 운영하는 분, 최현주 씨 연결되어 있습니다.
소
◇ 김현정> 그러니까 젖소 중에 수소를 키우시는 건데 몇 마리나 키우십니까?
◆ 최현주> 저는 지금 800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 김현정> 크게 키우시네요. 어제 전북 순창에서 소 9마리가 굶어죽었다고요. 엄밀히 따지자면 사료를 못 줘서 굶겨 죽인 셈이 된건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는 거죠?
◆ 최현주> 저도 어제 들었는데요. 참 안타까운 현실이죠. 자식같이 키운 소를 굶어 죽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얘기입니다. 송아지의 똘망똘망한 눈매를 볼 때... 정말 얼마나 예쁘고 좋습니까? 그런데 송아지를 굶어 죽이는 현실이 농민들은 얼마나 안타깝겠습니까? 저도 농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 김현정> 그렇죠. 어떡하다가 이런 일이 생겼는가. 사료 값이 도대체 얼마나 올랐는데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거죠?
◆ 최현주> 사료 값이 약 30%가량 올랐어요. 사료 값이 오른 게 문제가 아니라 사료 값이 오르면서 소 육우값이 같이 올랐으면 좋겠는데, 반면에 육우값은 30%가 떨어졌다는 거죠. 지금 이 상태로 6개월 가면 그런 소들이 비일비재하게 나올 거라는 게 현실입니다.
◇ 김현정> 굶어 죽어가는 소가 비일비재하게 나올 거라는 말씀?
◆ 최현주> 그렇죠. 외상값을 못 갚으니까 회사에서 사료를 주지 않죠.
◇ 김현정> '사료 값은 30% 올라가고 소 값은 30% 떨어졌다' 이렇게만 들어서는 피부로 잘 안 와 닿는데요. 만약 지금 최현주 씨가 키우고 있는 800마리를 다 판다고 하면, 이게 얼마나 이득이 남느냐. 이렇게 얘기를 해 주시면 좀 쉬울 것 같네요?
◆ 최현주> 제가 키우는 소가 송아지로 들어올 때 50만 원이었고요. 소는 20개월에서 24개월, 28개월 키우는데 사료 값이 260만 원 들어갑니다. 나머지 기타 비용이 50만원 들어가면 송아지 한 마리 생산하는 데 360만원입니다.
그런데 지금 소 값이 260만 원밖에 안 되거든요. 실제로 100만 원에서 많게는 150만 원까지 적자가 발생한다는 겁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800마리니까 150만 원씩 적자가 나면 약 12억의 적자가 발생하는 거죠.
◇ 김현정> 소 800마리를 다 팔면 오히려 12억의 손해가 발생한다고요?
◆ 최현주> 그렇죠. 한 마리 당 150만 원씩 적자가 발생하니까요.
◇ 김현정> 그렇군요. 그래서 송아지를 낳게 되면 그걸 키우기보다는 다 팔아버리고 싶어 하는 건데, 또 팔려고 하면 1만 원?
◆ 최현주> 매매가 안 돼요.
◇ 김현정> 1만 원에도 안 팔아요?
◆ 최현주> 지금 앵커께서 1만 원이라고 그랬는데, 이 송아지도 1만 원을 줘야지 판매자가 가져갑니다. (제가) 받는 게 아니라.
◇ 김현정> 1만 원을 주고 좀 키워주십시오. 하는 거네요?
◆ 최현주> 폐기물 비용이에요. 폐기물 비용.
◇ 김현정> 폐기물 비용이다….
◆ 최현주> 암소를 키우는 낙농가에서 송아지를 낳으면 이 송아지를 키울 수가 없잖아요. 이걸 팔아야 되는데 육우농가들이 소를 입식 안 하니까 팔 수 없어요. 웃돈을 주고 오히려 소를 파는 현상이에요. 1만 원, 2만 원이라는 얘기가.
◇ 김현정> 그러면 지금 뉴스에 나오는 '1만 원에 송아지가 팔린다'는 말. 그 1만 원은 주고 파는 돈, 적자를 보면서라도 처리해야 되는 돈이라는 말씀이세요?
◆ 최현주> 그렇죠. 지금 폐기물 비용이지요, 실제로.
◇ 김현정> 갑자기 송아지들이 너무 불쌍해지는데요?
◆ 최현주> 저도 지금 안타까워 죽겠습니다.
◇ 김현정> 저는 자장면 한 그릇 값이네 이런 이야기를 드리려고 했는데, 자장면 한 그릇 값도 안 된다는 얘기네요?
◆ 최현주> 안 돼요. 이 상태로 6개월 가면 저희도 못 버티고요. 모든 육우농가가 다 도산합니다.
◇ 김현정> 구제역 때문에 소들이 많이 죽었잖아요. 그래서 저는 오히려 소 값이 오를까봐 걱정을 했는데 왜 이런 일이 발생을 했죠?
◆ 최현주> 실제로 구제역 발생 이후 많은 소비가 증감됐어요. 소비가 많이 줄었고요.
◇ 김현정> 구제역 때문에 걱정돼서?
◆ 최현주> 혐오감이죠. 실제로 사람 인체에 전혀 무해한데도 구제역이라는 혐오감 때문에 소비가 많이 줄었고요. 실제로 그것에 반해서 수입육 소비는 늘었어요. 거기에 사료 값이 인상되고 그러니까 축산농가는 이중고, 삼중고에 지금 허덕이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육우 소비는 줄고 호주산 소비는 늘어나게 된 상황이군요?
◆ 최현주> 더군다나 한미 FTA가 체결됨으로 해서 미국산 소고기가 불 보듯 들어올 것은 뻔하거든요. 그러면 저희 축산농가는 죽어납니다, 죽어나. 살 수 없죠. 저도 지금 축산업을 계속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 존폐의 위기에 있습니다.
◇ 김현정> 굶겨 죽이는 최악의 상황까지 가기 전에 대책이 나와야 될 텐데요. 오늘 어려운 중에 인터뷰 고맙습니다. 경기도 안성에서 육우농가를 운영하는 최현주 씨를 먼저 연결했고요.
이번에는 한우협회를 연결합니다. 한우협회에서는 내일 한우 2,000마리를 몰고 청와대 앞에서 시위를 벌인답니다. 전국한우협회 서울인천경기도지회 임관빈 지회장입니다.
◆ 임관빈> 예. 안녕하세요.
◇ 김현정> 2,000마리의 소를 몰고, 내일 상경해서 청와대 앞에서 집회를 하신다고요. 이게 무슨 일입니까?
◆ 임관빈> 지금 전국단위로 동시다발적으로 농가들이 올라오는데요. 의미는 그런 거예요. 지금까지 FTA를 비준하면서 말로만 생산비를 낮추면 연차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 현재 상황을 보면 연차적으로 2.7%씩을 관세를 인하를 한다고 그 안에 생산비를 절감하라고 하라는데 지금 농가들은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기름값도 오르고 사료값도 오르는 상황에서 도저히 낮출 수가 없으니까 당신네, 너네가 청와대에서 한번 길러봐라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 그런 의미로 올라가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2,000마리 줄 테니까 재주 있으면 청와대에 한번 키워봐라. 오죽했으면 농민들 입에서 이런 얘기가 나올까 싶은데요. 정부도 대책을 안 내놓은 건 아니에요. 예를 들면 10년 동안 축산발전기금 2조 5000억 조성해서 축산산업을 현대화 하겠다. 도축, 가공, 유통 함께하는 어떤 대형 축산기업도 육성하겠다. 경쟁력을 높인다는 건데요. 이걸로 안 됩니까?
zz
◆ 임관빈> 그러니까 그런 부분은 인프라 구축을 미리 했어야죠. 미리 해서 농가들의 경쟁력을 갖춰놓고 후 비준을 했어야 되는데, 선 대책을 요구했는데 선 비준을 했잖아요. 그리고 지금 한우농가들은 거의 영세농들이에요. 거의 80% 이상이 부업농인데 그분들이 그럼 비전이나 투자할 수 있는 어떤 여건조성이 안 되어 있고 그걸 한다 해도 그 후에 어떤 확실한 보장이 없다 보니까 불안심리 때문에 지금 현재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거죠. 불안 심리. 현재 지금 가격이 말도 못하게 추락이 되어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럼 축산기업, 대형축산기업 키운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 임관빈> 대형기업, 결국 기업이 축산에 진입하게 들어오는 거거든요.
◇ 김현정> 지금 농민들이 축산기업을 크게 할 수는 없습니까?
◆ 임관빈> 없죠.
◇ 김현정> 왜 없습니까?
◆ 임관빈> 구조상이나 어떤 자부담 능력이 없잖아요. 재원 능력이 없다 보니까 경영 능력의 어떤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마인드도 축적이 안 되어 있는 상황이다 보니까 결국 생산 같은 기반을 내주는 형상이 되는데 그럼 그분들은 뭘 먹고 삽니까? 대체산업이 없잖아요. 먹거리 산업으로 지금까지 축산을 했거든요.
◇ 김현정> 그렇죠. 축산기업 대형화하겠다는 이야기도 결국 대기업이 진출하는 거지, 농민들이 크기는 어려울 거다. 이런 말씀이시군요?
◆ 임관빈> 그렇죠.
◇ 김현정> 그럼 꼭 필요한 대책, 당장 필요한 대책은 뭡니까?
◆ 임관빈> 저희가 요구했던 부분이 사료곡물 부가세 면제 들여오는 걸 해 주고 또 사료가격 안정제를 도입해서 가격완충을 시키게 가격이 올랐을 때. 또 해외사료 생산기지 전진화 및 현지에 저장시설을 요구했어요. FTA 피해보전책으로 여야정 협의를 말로만 해 놓고 예산부서에는 좀 전에 사회자님 말씀하셨듯이 난색을 표한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말이 됩니까? 미국 농민이 생산하는 축산물 팔아주려고 시장을 내줬거든요. 그러면 그래 놓고 정작 우리나라 국민이, 생산한 농민이 생산한 축산물을 파는 데 피해보는 것은 당연히 우리나라 정부가 책임져야하는 거 아닙니까?
◇ 김현정> 지 회장님도 한우 키우시잖아요?
◆ 임관빈> 당연하죠.
◇ 김현정> 이 녀석들 사료 주다 보면 나한테 1억 2억 손해가 나니까, 결국은 굶겨 죽일 수밖에 없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어요..
◆ 임관빈> 그런 게 자꾸 나오잖아요. 소도 죽지만 농민들도 자살을 하는 사태가 계속 속출하고 있어요.
◇ 김현정> 사료통은 텅 비어 있고 이 녀석들이 갈비뼈가 앙상해진 채 앉아있지도 못할 정도로 눈물 그렁그렁한 모습을 보니까 제가 절로 눈물이 나던데요. 그 녀석들 보면 어떤 생각이 드세요?
◆ 임관빈> 말도 못하죠. 외국 난민 기아사태가 아니라 우리나라가 당장 그런 현실 아닙니까? 우리나라 국민들이 외국 지원을 하는데요. 당장 우리나라도 그런데 정부가 당연히 보존책을 내놔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나온 게 없지 않습니까? 정말 답답합니다.
◇ 김현정> 자식 밥 하루 한 끼 굶기면 엄마들 마음이 미어지거든요.
◆ 임관빈> 당연하죠.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랑 똑같은 거예요. 지금 마음이.
◇ 김현정> 농민들 자살 이야기도 잠깐 하셨는데, 뉴스에 나오는 건 없는데요. 정말 지금 그렇게 자살도 많이 있습니까?
◆ 임관빈> 지금, 저희가 속단이 아니라 먼저 그때도 그랬듯이 지금도 상황이 엄청나게 급박한 상황이에요.
◇ 김현정> 주변에 그런 분들이 있어요? 보도만 안 된 거지?
◆ 임관빈> 네.
◇ 김현정> 알겠습니다. 9마리 소를 굶겨 죽일 수밖에 없었던 전북의 농민도 저희가 연결을 해 보려고 했는데 이분은 스스로 죄책감을 느끼시는 거죠. 그래서 인터뷰는 사양을 했습니다. 여기서 인터뷰 마치겠습니다. 지회장님, 고맙습니다.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