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폭발 위험' CNG버스 정비, 누가 하나 봤더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버스회사 정비사 대부분 무자격자…3시간 실습하면 '특별안전관리사'

정비사진

 

서울 양천구 신정동 양천공영차고지에는 310대의 시내버스가 계류하고 있다.

최근 기자가 이곳을 방문했을 때 막 차고지로 들어온 버스를 두 명의 정비사가 정비를 하고 있었다.

정비사 박 모(54)씨의 경우 버스 우측의 CNG(압축천연가스) 연료통을 살피고 있었다.

박 씨에게 '가스안전기사'나 '가스기능사' 자격증이 있는지 물었더는 그는 "가스 충전소에서 일하는 사람은 따야 되는데 버스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은 자격증 같은 것은 없어도 된다"고 말했다.

버스 밑에서 엔진을 점검 중이던 정비사 김 모(48)씨는 "정비기사는 6시간 듣는 교육만 들으면 된다"며 교육이수증을 보여줬다.

이 곳에서 일하고 있는 5개 버스회사 소속 33명의 정비사들 가운데 가스 취급 자격증을 가진 가스 전문가는 단 한 명도 없다고 했다.

다른 회사라고 사정이 다르지는 않다.

서울시 버스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내 66개 버스회사 중 가스 관련 전문가를 고용한 회사는 손에 꼽는다"고 말했다.

비(非)전문가들이 점검하는 CNG(압축천연가스) 버스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끊이질 않고 있는 이유다.

지난 7일 행당동에서 폭발한 CNG 버스도 불과 사흘 전 안전점검을 받았지만 연료용기에는 이상이 없다는 판정을 받았었다.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한 서울시가 최근 대책을 내놓았다.

서울시내 66개 버스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정비사 1명씩, 모두 66명을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위탁해 지난 24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CNG 관리자'로 양성시키고 있는 것.

서울시 버스정책과 관계자는 "일주일의 교육을 수료한 직원을 '특별안전관리사'로 선임하고, 버스회사에 관련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이수증

 

문제는 이 교육이 가스 전문인력 확보에 실질적 도움이 되느냐다.

하루에 6시간씩 7일 동안 진행되는 교육은, CNG용기 제조사 및 CNG버스 제조사 방문(4일), 가스 강의 청취(3일)로 구성된다.

현장에서 일할 사람들에게 필요한 실습교육은 전체 교육시간 중 10%에도 못 미치는 3시간에 불과하다.

교육 내용과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실제 용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과정을 보는 것이 용기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가스안전공사에서도 현장견학이 유익하겠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대책은 행당동 폭발 사고 직후 "가스 취급 자격증이 있는 전문가를 2명씩 확보하겠다"는 오세훈 서울 시장의 발표와도 차이가 있다.

가스 취급 자격증이 있는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과 자격증이 없는 사람이 일주일 교육을 받은 뒤 자격증을 가진 사람과 동등한 대우를 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대표적인 가스 취급 자격증인 '가스산업기사'와 '가스기능사'의 합격률은 2009년을 기준으로 각각 18%와 20%에 불과할 정도로 까다롭다.

때문에 현장에서 만난 버스업체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관리자 양성 과정의 실효성에 대해 고개를 갸웃거렸다.

모 버스회사 관리부장인 김 모(41)씨는 "과거에 자동차 정비 업소에서 정비자격증도 없이 하도 불법정비를 하니까 '일주일 교육만 이수하면 자동차정비기사 3급 자격증 주겠다'고 한 적이 있었다"며 "이번에도 여론이 떠드니까 '다 모여라'해서 '이것만 하면 수료증 줄게'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사실상 현행 CNG 버스 점검 체계에 면죄부를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버스정책과 관계자는 "용기 제작과정을 보며 용기에 해 알면 이후에 용기에 대한 전문교육을 익힐 수 있다"면서도 "급하게 이런 부분을 대처하긴 했지만 이번 교육 결과를 살펴보고 보완교육을 하면 제도적으로 정착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