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정부, 한국전쟁 당시 산내 학살 60년만에 공식 확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전 공주 청주 등 3400여명 희생당해…"유족 사과 및 위령 사업 지원해야"

1

 

대전 산내 학살이 60년 만에 처음으로 공식 확인됐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이영조)는 2일 “지난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17일까지 대전형무소 재소자와 국민보도연맹 등 1800여명이 한국군과 경찰 등에 의해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집단희생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국전쟁 당시 단일 사건으로는 가장 큰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알려진 대전 산내학살에 대한 정부의 공식 확인은 이번이 처음이다.

산내 학살 사건은 전쟁으로 후퇴하던 한국군과 경찰이 대전 형무소 재소자 등을 동구 낭월동 인근 산내 골령골로 끌고 가 집단 처형한 사건으로 지난 90년대부터 최소 1800명에서 최대 7000여명이 희생됐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진실화해위는 대전형무소뿐 아니라 공주와 청주 형무소에서도 집단 학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공주의 경우 50년 7월 9일쯤 공주 형무소 재소자와 국민보도연맹원 등 400여명이 헌병대 등에 의해 왕촌 지역에서 집단 희생됐다.

청주는 같은 해 6월 30일부터 7월 5일까지 청주 형무소 재소자 등 1200여명이 충북 청원군 남일면 분터골과 화당교, 쌍수리 야산과 낭성면 도장골, 가덕면 공원묘지 등에서 집단 희생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과 공주·청주에서 모두 3400여명이 희생당했으며 이 중 희생자 333명과 희생 추정자 18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육군본부 정보국과 헌병대가 지휘를 주도했으며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의 희생 과정에 직접 개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진실화해위는 “비록 전시였다고는 하지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가 재소자 등과 보도연맹원들을 좌익 전력이 있거나 인민군에 동조할 것이 우려된다는 이유만으로 적법한 절차없이 사살은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유족에 대한 사과와 위령사업 지원, 비상사태시 민간인 보호조치 등에 관한 규정 정비 등을 국가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유족을 비롯한 대전민간인 희생자 대책회의는 즉각 환영의 뜻을 표했다.

대책회의는 “대전 산내학살사건이 국가에 의한 억울한 희생임을 공식 인정하는 것이라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이번 진실 규명으로 지난 60여년간 한 맺힌 삶을 살아온 유족들의 한이 조금이나마 풀리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이를 계기로 중단된 유해발굴 사업 재개와 관련법 개정 등 후속사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내유족회는 2일 오후 대전 문화동 기독교 연합봉사회관 대강당에서 ‘11차 대전산내학살사건 희생자 합동위령제’를 개최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