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30일 오전 서울 여의동주민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투표함에 용지를 넣고 있다. (황진환 기자/자료사진)
6·4 지방선거의 사전투표가 지난 30일부터 이틀 동안 전국에서 일제히 시행되고 있다. 이번 사전투표제는 전국 단위 지방 선거 사상 처음이다.
◈ "시간에 쫓기지 않고 지역에 구애받지 않아 편리"투표가능한 날이 선거 당일을 제외하고도 이틀이나 늘어난 덕에 시민들은 여유있게 소중한 한 표를 행사했다.
지난 30일 당산 1동 주민센터에서 투표를 마친 이모(30) 씨는 "투표할 수 있는 날이 하루가 아니고 3일이나 돼 시간에 쫓기지 않아 편한 것 같다"며 "분당에 사는데 여기서 투표를 했다. 지역에 구애받지 않는 점도 좋다"고 말했다.
"아무데서나 가까운 데서 할 수 있는 것이 참 편리하다"는 김모(58) 씨는 "예전에는 굳이 투표장 찾아가야해서 귀찮은 점도 있었는데 이렇게 바뀌니까 좋고 아무래도 투표율도 많이 올라갈 것 같다"며 기분좋게 투표장을 빠져나갔다.
◈ 투표소 인근서 선거운동, 장애인 등 이동 약자 배려 부족하지만 사상 최초로 시행된 탓인지 아직 사전투표 준비나 관리에서 미흡한 부분도 눈에 띄었다.
현행 선거법에 따르면 사전투표 기간에는 투표소 100m 이내에선 선거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서울 시내 일부 사전투표소 앞에는 특정 후보 유세 차량이 지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또 사전투표소 대부분이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 2층 이상의 고층이나 지하에 마련돼 노약자나 장애인 등 이동약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아쉬움도 있었다.
또 일부 투표소에는 사전투표소 안내가 제대로 돼 있지 않아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다.
건물 내 에스컬레이터가 있는데도 지팡이를 짚으며 비상계단으로 왔다는 배모(65) 씨는 "투표하라 해놓고 안내판도 없으면 어떡하냐"면서 "금방 하고 가려했는데 이리저리 한참을 헤맸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 "사전투표제가 뭐에요?" 홍보 부족…선관위, "한다고 했는데…"사전투표제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을 주로 사용하는 젊은 층이나 미디어 노출이 많은 시민들은 사전투표제를 잘 알고 있었지만, 일부 주부나 중노년층 등은 사전투표제가 무엇인지, 언제 시행되는지조차 모르고 있었다.
이날 지인들과 서울 광장을 찾은 정모(69·여) 씨는 "사전투표제? 처음 들어본다. 뭔지 모르겠다"며 멋쩍게 웃으며 말했다.
주부 최모(32·여) 씨도 "사전투표 한다는 건 알았는데 이틀 동안인지는 몰랐다. 토요일 하루만 하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신문, 방송은 물론 길거리나 지역 축제 등에서도 그동안 홍보를 많이 해왔지만 그럼에도 다수의 국민이 알지 못한 것은 아쉽다"라며 "다음엔 더 많은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또 "선거 당일은 공휴일이여서 투표소로 지정된 건물은 업무를 정리하고 1층에 투표소를 마련하지만 사전투표 날은 평일이여서 업무를 그대로 보며 투표소를 마련해야하는 맹점이 있다"며 "장소가 부족하다보니 투표소로 주로 고층에 마련된 회의실이나 대강당을 쓰게 됐다"고 해명했다.
◈ "사전투표 기간과 투표소 늘려야" 투표 참여가 가장 중요선관위에 따르면 전국에 마련된 사전투표소 수는 3,506개, 6월 4일 지방 선거 당일에 설치될 일반 투표소 수는 모두 13,600여개다.
선관위는 "인력과 예산 때문에 사전투표소 수가 적은 것도 있지만 보안이 우선돼야 하다보니 국가통신망을 쓰는 읍면동 주민센터 등에 투표소가 국한되는 측면이 있다"며 장소 선정의 한계를 아쉬워했다.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과 투표율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표에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김형준 교수는 "지금은 사전 투표 기간이 이틀밖에 안되지만 5일 정도로 기간을 연장해야하고 투표소도 훨씬 더 늘려야한다"며 "이렇게 하면 투표율은 당연히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