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정점으로 하는 지도부가 '전면적인 테러 뿌리 뽑기'를 공언한 상황에서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에서 또다시 초대형 테러사건이 발생하면서 중국 사회 전체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우루무치 공원 테러사건은 중국 당국이 전국 각 도시에 테러 경계령을 내리고 전방위적인 반(反)테러 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22일 오전 우루무치 도심지역에 있는 한 아침시장에서 발생한 차량 폭탄 테러로 최소 31명이 숨지고 94명이 부상했다고 전했다.
이번 테러는 시 주석이 21일 상하이에서 열린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정상회의 무대에서 다시 한 번 '테러와의 전쟁'을 강조한 직후 일어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시 주석은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테러리즘, 분리주의, 극단주의를 절대 묵인해서는 안된다(零容忍)"고 주장했고, 다수의 중국 관영언론들은 이 발언을 크게 부각했다.
시 주석의 이 같은 발언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바로 다음 날 우루무치 도심 한복판에서 테러가 발생함으로써 이번 테러가 중국 지도부를 정면으로 겨냥한 '기획테러'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 30일 우루무치 기차역에서 발생한 폭탄테러도 시 주석이 나흘간 신장지역 군부대, 경찰서 등을 돌며 잇따라 '테러 강경 대응' 메시지를 주문한 직후 발생했다.
일각에서는 분리독립세력에 대한 중국 당국의 '강공 일변도'의 정책이 벌써부터 한계점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당국은 올해 초 위구르족 분리독립세력이 주도한 것으로 추정되는 테러가 잇따라 발생하자 각 주요도시의 반테러 경계태세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베이징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반테러 훈련도 전개됐지만, 이번 우루무치 공원 테러 사건을 통해 드러났듯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테러단체들이 오히려 중국당국의 이런 전방위적인 테러압박정책을 '역이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국의 '고강도 반테러' 조치에도 테러사건이 끊이지 않고 발생한다면 이는 결국 당국의 '무능력'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