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10시…청와대에서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청와대 전경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치욕적인 날로 또 한 번 기록될 수도 있는 2014년(갑오년) 4월 16일. 그날 오전 10시 청와대에서는 무슨 일이 었었던 것일까?

박근혜 대통령과 김기춘 비서실장,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은 청와대에서 뭘 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 시간대의 궁금증이 정홍원 국무총리의 입을 통해 조금은 풀렸다.

정홍원 총리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현안질의에서 '대통령이 세월호 사고를 처음 인지한 것이 언제냐'는 질의에 대해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를 처음 알게 된 시점이 사고 당일인 지난달(4월) 16일 오전 10시 전후"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어 "정확하게 보고 경로를 모르지만 사고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았다”며 “오전 10시 전후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의 말대로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를 처음으로 알게 된 시점이 사고 당일인 지난달 16일 "오전 10시 전후"라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해경이 세월호 참사를 첫 접수한 시간이 4월 16일 오전 8시 58분이니까 국정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이 1시간이 지나서야 보고를 받았다면 그 어떤 해명으로도 납득이 안 된다.

해경의 첫 구조작업에서부터 해경과 해군의 늑장 출동, 안행부 등의 우왕좌왕 등 세월호 참사 보고와 대응, 구조의 혼선과 혼란은 대통령 보고가 늦었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를 몰랐으니 당연히 초동조치가 늦을 수밖에 없고, 안행부 등 재난 관련 부처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 총리도 21일 국회 답변에서 이러한 파장을 의식해서인지 "청와대 일을 제가 일일이 보고받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대를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 (사진=윤성호 기자)

 

그런데 중앙재난대책본부가 '진도 해상 여객선 침몰사고 상황보고'를 작성해 배포한 시간이 4월 16일 오전 10시.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인지 시점은 차치하고서라도 본격적으로 대처한 시간은 10시쯤이라는 정 총리의 발언이 사실일 개연성은 크다.

이 상황보고 1보에는 "단 1명의 인명피해도 없도록 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 객실 엔진실 등 철저히 수색해 누락되는 인원이 없도록 할 것"이라는 '대통령 지시'가 명시돼 있다.

"인명피해가 없도록 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10시에야 내려갔으니 구조의 황금시간을 다 놓쳐버린 뒤였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