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 아파트 이름 바꾸기로 벗어날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부산지역 아파트 이름 바꾸기 문의 잇따라…집값 인상 걱정인 세입지와 신경전도

아파트 자료사진.

 

지난 2000년대 초·중반 유행처럼 번진 아파트 이름 바꾸기가 최근 부동산 침체 속에서 다시 시작되고 있다.

주상복합 등 고가의 새 아파트가 대부분인 브랜드 아파트의 이미지를 빌려 집값을 올려보자는 의도인데, 이 같은 움직임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 간의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지난 2004년 대기업 건설사가 완공한 부산 북구의 A 아파트는 최근 입주자 대표회의를 열고 아파트 이름을 바꾸기 위해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래미안', '자이', '캐슬' 등 유명 브랜드로 이름을 갈아탈 경우 새 아파트라는 이미지와 함께 고급스러운 분위기까지 더해져 자산가치 상승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개명을 원하는 집주인과 반대표를 던지려는 세입자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면서
세입자를 중심의 불만의 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이 아파트에 2년째 전세로 살고 있는 한 세입자(33)는 "주인이 개명 찬반투표에 찬성했느냐고 물어보는 데 솔직히 말할 수 없었다"며 "또 '세입자가 아닌 실소유자를 상대로 투표를 진행했어야 했다'고 말해 당혹스러웠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또 다른 세입자(31.여)는 "아파트 내부 곳곳에 수리할 곳이 많고, 인근 브랜드 아파트에 비해 편의시설이 현격히 부족하다"며 " 그런데도 겉 페인트칠만 해서 이름을 바꾸면 실질적으로 개선 되는 건 없는데, 매매가와 전세금만 올라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도 아닌 단순 외곽 도색으로 인근 브랜드 아파트와 같은 시세를 받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이다.

북구청은 지난 몇 년 동안 관내 이름을 바꾼 아파트가 하나도 없었지만, 올해 하반기 들어서 A 아파트뿐 아니라 금곡과 화명, 덕천동 등 일반 아파트로부터 개명문의 전화를 여러 차례나 받았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