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운동권 심판→민생' 전략변경…'尹책임' 떠안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한동훈, 총선 보름여 앞두고 전략 대폭 수정
'의대 증원 갈등' 중재 해결사 역할도 자처
대통령실도 '한동훈 띄우기' 힘 보태는 모양새
韓 '민생 전문가·갈등 해결사' 역할론 급부상
권한 주고 책임 지우기…총선 패배 시 '韓 책임론' 귀결 해석도

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보름정도 앞둔 가운데,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대위원장이 선거 전략을 '운동권 심판론'에서 '민생 정책'으로 대폭 수정했다. 지지율이 저조한 상황에서 고착화되자 이를 돌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초부터 전국을 돌며 민생토론회를 하는 등 정책 이슈에 집중해 온 점을 감안하면, 이는 선거용 정책의 '간판'이 윤 대통령에서 한 위원장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도 갖는다.

특히 정부와 의료계가 '의대 증원'을 두고 첨예하게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와중에 한 위원장이 중재에 나서는 듯한 행보를 보이면서 '난제'까지 떠안는 듯한 모양새다. 대통령실은 "정부와 당이 협의해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해 달라"며 공을 넘겼다.

한 위원장이 '민생 전문가', '갈등 해결사' 등으로 급부상한 듯하지만, 한편으로는 총선 패배 시 그 책임도 모두 한 위원장이 짊어지게 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통령 책임론이 아닌 '한동훈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는 셈이다.

24일 한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의 모든 정책과 여러 위원회는 결국 다 '정부를 끝장내자', '난장판 치자', '깽판 치자' 이런 얘기밖에 없다"며 "그런 혼란이 있어서는 나라가 전진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과거에는 (대통령) 탄핵을 얘기할 때 역풍을 우려해 꺼내지 않는 게 정치적 도의인데, 그걸 공공연히 (민주당) 당 대표부터 이하까지 다 하고 있다"며 "그런 세력을 상대할 때는 싸움에서 물러나지 않는 것도 필요하지만, 저희는 민생과 경제라는 중요한 부분에 대한 설명도 게을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야당과의 싸움보다 민생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비대위원장 취임 후 줄곧 '운동권 심판론'을 거론하며 야당과의 대립 구조에 집중해 온 것과는 사뭇 달라진 태도다.

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특히 민생에 방점을 찍었다는 것을 강조하듯, 이날 바로 선대위 산하 민생경제특별위원회 출범을 발표하고 유일호·추경호 등 전직 경제부총리를 공동위원장으로 앉히기도 했다.

한 위원장은 "민생경제특위, 서울-경기리노베이션특위, 격차해소특위 등 모두 동료 시민의 일상을 개선하고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고 전진하자는 내용의 특별위원회"라며 "(민주당 특위와의) 차이를 주목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여당 선거의 간판이 윤석열 대통령에서 한 위원장으로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금껏 한 위원장은 당 대표로서 '운동권 심판론'으로 야당 견제를, 윤 대통령은 민생토론회 등 정책 이슈를 분담해 온 모양새였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야당에서 "선거 운동"이라는 비판에도 아랑곳 없이 수 차례의 토론회를 이어갔다.

하지만 한 위원장으로 스피커만 바뀌었을 뿐 민생 정책 공약 대부분은 윤 대통령이 언급한 그대로이다. 이날 한 위원장이 민생 공약이라며 구체적으로 '수도권광역 급행철도'(GTX) 신설과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등을 언급했지만 모두 윤 대통령이 앞선 민생토론회 등에서 이미 밝혔던 내용이다.

여기에 한 위원장은 의대 증원 문제와 관련해 정부와 의료계 간 중재 역할에 나서기도 했다. 그는 전국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을 하루 앞둔 이날 전국의대교수협의회 회장단과 비공개 간담회를 한 뒤 "정부와 의료계 간 건설적 대화를 중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며 "대화를 돕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도 한 위원장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한 위원장과 의료계의 면담 직후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당과 협의해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당부했다"며 "또한 대통령은 한 총리에게 '의료인과 건설적 협의체를 구성해 대화를 추진해 달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이 민생 정책 공약 발표를 넘어 '해결사' 역할까지 도맡는 모양새다. 한 위원장의 중재에 따라 진행된 대화의 결과, 오는 26일로 관측됐던 전공의 면허정지 조치가 연기되는 분위기다.

다만 일각에서는 여론의 관심이 한 위원장으로 쏠리는 만큼 추후 책임도 한 위원장이 모두 짊어져야 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대통령 책임론보다는 '한 위원장 책임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공교롭게도 이 같은 기류 변화는 이른바 '제2차 윤-한 갈등'이 봉합된 직후 시점에서 이뤄지기 시작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이종섭 주호주대사와 관련해서는 "즉각 귀국"을, '언론인 회칼 테러'를 언급한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에 대해선 '자진 사퇴' 취지의 언급을 한 바 있다. 반면 당시 대통령실은 이 같은 요구를 일축했다.

그러자 한 위원장이 비례대표 명단을 기습 발표했고, 대통령실은 황급히 이 대사 귀국과 황 수석 사퇴를 받아들였다. 이후 '친윤'(친윤석열) 핵심 인사인 이철규 공동인재영입위원장이 비례대표 공천과 관련해 "당초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비례대표를 고심해서 결정한 후 국민의미래로 이관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잘못된 공천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호소하자 비례대표 명단과 순번이 일부 바뀌었다.

사태가 일단락된 후인 지난 22일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함께 천안함을 둘러보는 모습을 보이면서 갈등설을 일축시킨 바 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