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중기가 넘은 '아스달' 대흑벽, 시청자는 왜 못 넘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노컷 리뷰] tvN '아스달 연대기' 진단

tvN '아스달 연대기' (사진=tvN 제공)

 

시도는 새로웠지만 보여준 건 '기시감'이었고, 불안정한 세계관이었다. 방송 전부터 판타지 드라마계의 걸작이라 불리는 '왕좌의 게임'과 비교되며 '한국판 왕좌의 게임'으로 여느 때보다 새로운 한국형 판타지 드라마에 거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이 기대가 오히려 독이 되어 돌아왔다. 세계관의 빈틈을 메우려는 과도한 설명과 기시감 속에서 '아스달 연대기'로 가는 '대흑벽'이란 진입장벽을 시청자 대부분이 여전히 넘지 못하고 있다.

tvN에서 야침차게 준비한 2019년 대작 판타지 '아스달 연대기'는 태고의 땅 '아스'에서 서로 다른 전설을 써가는 영웅들의 운명적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다. 주인공은 은섬(송중기 분)과 타곤(장동건 분)의 대결, 그 과정에서 그려지는 자유와 탐욕, 문명의 폭력과 원시적 자연의 대립 등을 선보이고자 한다.

이 같은 갈등과 대립을 통해 인류 원형에 질문을 던지려고 하는 '아스달 연대기'는 초기 국가 성립까지를 가리키는 '상고시대'를 바탕으로 한다. 익숙한 설화인 '단군신화'를 재해석해 '최초'의 도시, '최초'의 국가, '최초'의 왕 등 '처음'으로 무언가가 만들어지는 상황에 판타지적 상상력을 더해 풀어나간다.

그러나 문제는 구체적인 기록으로 남겨지지 않는 '최초'의 시대를 상상력으로 재탄생시킨다는 데서 시작한다.

김영현·박상연 작가의 이전 작품인 '선덕여왕' '뿌리 깊은 나무' '육룡이 나르샤'는 비교적 역사적인 사실이 구체적으로 남아 있다. 기본 뼈대가 탄탄한 가운데 작가들은 약간의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해 역사의 빈틈을 채워 넣었다. 그리고 그 빈틈에 끼워 넣은 판타지적 상상력은 시청자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그러나 '아스달 연대기'에서 다루는 상고시대는 신라시대나 고려 말, 조선 초기처럼 기록이 많지 않다. 그렇기에 '상고시대'라는 것은 상상력이 펼쳐질 수 있는 최적의 시대이자 동시에 위험부담이 큰 시대다. 메워야 할 역사의 '빈틈'이 역사보다 더 넓은 공간이기 때문이다.

드넓은 역사의 빈틈에 작가들 나름의 상상력이 '판타지'라는 장르를 통해 구현됐지만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고자 하는 욕심은 판타지 장르에 사용되는 무수한 '스테레오 타입'이 불러일으키는 '기시감'과 과도한 설명이 주는 시청 진입장벽을 만들게 됐다.

물론 '아스달 연대기'와 비교되는 '왕좌의 게임'도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각 가문의 싸움이라는 이야기 틀과 중세시대를 연상케 하는 배경 등은 수많은 소설이나 판타지 장르가 가진 '스테레오 타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마지막 시즌을 제외한 '왕좌의 게임'은 가상의 세계인 웨스테로스 대륙의 7개의 국가와 그 외 하위 국가, 각 인물들의 얽히고설킨 이야기와 갈등을 시청자에게 그려내고 있다. 인물들의 서사를 따라가다 보면 가상의 세계와 그들 사이의 숨겨진 이야기 등이 자연스레 비춰진다.

'아스달 연대기'는 하나의 세계관과 새로운 종족, 새로운 언어를 창조해냈다는 점에서는 우리에게 영화 '반지의 제왕'과 '호빗'으로 유명한 J.R.R. 톨킨을 떠올리게도 한다. 톨킨의 소설은 북유럽 신화를 원형으로 삼아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언어까지 창조해냈다. 톨킨 역시 작은 영웅 호빗이 세계의 거대한 '악'에 맞서고 성장해나가는 흐름 속에서 세계를 그려낸다.

그러나 '아스달 연대기'는 방대한 세계관의 역사를 '설명'으로 풀어낸다. 역사적 빈틈을 메우기 위해 생겨난 세계관에 대한 과도한 설명이 시청자에게는 흥미롭게 다가서기보다는 '대흑벽'과 같은 아스달 세계에 대한 진입장벽이 된 것이다.

또한 '상고시대'라 하면 우리가 가장 집중력을 갖고 공부하는 역사의 첫 장인 고조선과 삼한 시대의 시기를 이른다. 적어도 어떤 시대인지 개략적으로 아는 시대다. 그러나 '아스달 연대기'는 비록 가상의 세계라지만 청동기 시대로 알려진 당시와 어울리지 않는 설정이 사용됐다.

우리가 이미 아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 사이의 괴리가 벌어지면서 '무리수'라는 비판까지 나오며 극에 대한 몰입을 방해하고 있는 셈이다.

tvN '아스달 연대기' (사진=방송화면 캡처)

 

판타지라는 장르는 단순히 세계관에 대한 설정만 좋아서는 되지 않는다. 모든 장르가 그렇듯이 '서사'가 갖는 힘이 중요한 건 판타지 장르도 마찬가지다. '왕좌의 게임'이나 '반지의 제왕'이 호평받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어내서가 아니다.

그들도 어디선가 봤던, 어디선가 있었던 것에서 영감을 받고, 그것을 세계의 원형으로 삼아 세계를 재창조했다. 그리고 그 안에 자신들만의 새로운 '서사'를 담아냈고, 그 서사가 가진 개연성과 서사를 가진 캐릭터의 매력에 독자, 시청자도 반응한 것이다. 부족한 세계관의 틈을 설명하려 하기보다는 독자의 상상력에 맡긴 부분이 있고, 이것이 판타지 장르가 갖는 또 하나의 '재미'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스달 연대기'는 이러한 재미를 상당 부분 상실했다.

'아스달 연대기'가 주인공을 활용하는 방법도 사실은 전형적인 영웅 서사다. 그러나 주인공이 가진 이미지와 풀어나가는 전개 방식 역시 '정형화'되면서 단순한 구조로 이어진다는 것 역시 매력적인 드라마가 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결국 방송 전 '한국형 왕좌의 게임'이라는 수식어와 540억 원 대작이 그려낼 거대 판타지 세계에 대한 기대감은 곧바로 '아스달 연대기' 속에 묘사된 것처럼 '대흑벽'이라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게 됐다.

여기에 공교롭게도 영화 '기생충'이 개봉하고, '기생충'의 노동 환경이 주목받으면서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비판받아 온 '아스달 연대기'에 대한 불편함 같은 또 다른 진입장벽이 생겨났다. 만드는 스태프조차 즐겁지 못한 드라마를 소비하는 데 대한 불편함 말이다.

'아스달 연대기'도 3개의 파트 중 1개 파트를 넘어 이제 본격적으로 파트 2 '뒤집히는 하늘 일어나는 땅'이 시작됐다. 은섬(송중기 분)과 아스달 연맹은 이미 '대흑벽'을 넘었다. 정말 하늘이 뒤집히는 것 같은 아스달 세계관과 캐릭터의 반전적인 매력이 보이지 않는 한, '대흑벽'처럼 높은 장벽 뒤에 있는 수많은 시청자가 '아스달 연대기'에 진입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