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과학 분야, 한국인 수상자 나오지 않는 이유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노벨상의 계절이 지나가고 있지만 올해도 과학분야에서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없다.

올해까지 118년간 생리의학·물리·화학 등 과학 분야에서만 607명의 수상자가 나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평화상 분야를 제외하고는 전무하다.

이웃 나라 일본은 지난 1949년 교토대학교 유가와 히데키 교수가 첫 노벨화학상 수상한 이래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의 혼조 다스쿠(76) 교토대 교수까지 모두 27명(외국 국적 취득자 3명 포함)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해냈다.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향후 10년 내 한국인이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 기초과학 연구, 사회적 분위기 바꿔야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혼조 다스쿠 교토대 교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서 노벨 과학상이 탄생하지 않는 이유로 세 가지를 꼽는다.

우선 국내 대부분의 과학기술 연구 분야가 기초과학이 아닌 응용과학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비교대상인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 기초과학 분야에서 1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지고 있고, 한국은 기초과학 연구가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됐기에 아직 성장 과정이라는 지적은 맞다.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선택의 여지없이 경제발전을 위해 기초과학보다는 추격형 응용과학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기초과학 분야에서도 연구비 지원이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에 집중돼 있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장기간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돼있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야마나카 신야의 경우 1997년에 처음 과학 연구비를 취득한 이후, 2012년 노벨상 수상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지원을 받았다. 연구가 독창적이라는 점을 인정받아 세계적인 관심을 받기 이전부터 성과가 나올 때까지 지원받을 수 있었다.

연구 장비의 문제도 있다. 우리나라는 산업 응용연구 정책으로 연구 장비 개발에는 소홀했다. 당장의 성과를 위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연구 장비 개발보다 해외 장비 구입이 장려되기도 했다.

연구 장비는 연구자의 연구 성과와 비례하며, 과학기술이 고도화 될수록 연구자들의 장비개발도 동시에 이뤄진다. 또 기존 장비로는 연구 성과의 차별화를 갖기도 어렵다. 과학 선진국에서 연구 장비 개발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이유이다.

◇국제협력 네트워크 다변화도 중요

(사진=스마트이미지)

 

마지막으로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국제협력 네트워크에서 한국은 협력의 주변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도 주로 미국과 협력에 집중하는 쏠림현상이 심하다.

최근 노벨과학상 수상의 90% 이상이 공동수상이고 3인의 공동수상이 일반적인 트렌드라는 점, 또 수상자의 연구패턴 분석 결과 80%의 수상 사례에서 수상자 간 직간접적으로 상호 협력관계에 있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의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등의 수상자 배출 국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다. 해외 유수의 연구자들과 다양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국제 연구협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최근 정부가 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하고 연간 1조4천억원의 기초과학 분야 연구비를 지원하는 등 투자를 늘린 것은 반가운 일이다.

또 지난 2014년과 2017년 우리나라 과학자 2명이 노벨상 수상자 유력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전문가들은 젊은 연구자들에 대한 투자를 늘려 신진 핵심 연구인력을 확보하고, 연구 현장의 창의성과 자율성이 보장되는 선도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노벨상 콤플렉스는 금물

다만, 노벨상 콤플렉스에 휩싸여 수상에만 집착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노벨과학상 종합분석 보고서'에서 "한국의 노벨과학상 콤플렉스는 한국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한국 사회 내부의 자신감의 부재가 드러나 있으며 노벨과학상이라는 외부적 인정을 통해 그것을 확인받고자 하는 사회적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고 꼬집었다.

노벨과학상은 좋은 연구에 주어지는 많은 보상과 인정 중 하나인데, 그것 자체를 정부 과학기술 정책의 목표로 설정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다.

연구 환경 개선과 관련,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은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장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연구관리제도, 평가관리 제도는 반드시 개선해야한다"며 "과학기술계도 연구윤리를 자체 정립해서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어야만 자율성을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노벨상을 목표로 삼기보다 노벨상이 나오는 연구 풍토를 만드는데 정부와 과학기술계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