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가림?' 日·대만도 같다, 이제 변명은 용납 안 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일어나라, 김현수' 26일(현지시간) 오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야구장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조별리그 B조 1차전 대한민국과 대만의 경기에서 5회말 2사 3루 김현수가 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나고 있다. 이한형 기자

 

야구에서는 '낯가림'이라는 말을 종종 쓴다. 타자들이 처음 만나는 투수에게 힘을 쓰지 못하는 경우다. 낯선 구종과 구질에 적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야구 대표팀도 그랬다. 지난 26일 대만과 B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대표팀은 우셩펑이라는 투수에 당했다. 대만 프로야구도 아닌 실업 선수에게 5이닝 동안 1점을 내는 데 그쳤다.

구위가 빼어난 것도, 구속이 빠른 것도 아니었다. 사이드암 투수인 우셩펑은 한국 타자들에게 5이닝 동안 안타 4개와 사사구 3개를 내줬다. 김재환(두산)의 1점 홈런이 된 실투를 빼면 산발로 막아냈다.

한국이 1 대 2 패배를 당한 결정적인 이유였다. 물론 박병호(넥센), 김현수(LG) 등의 잘 맞은 타구가 야수 정면으로 향하는 불운도 있었다. 그러나 역대급 타선으로 꼽히는 한국의 공격력을 감안하면 적어도 5회까지 3~4점은 뽑았어야 할 경기였다.

경기 후 선동열 감독은 "예상을 못한 대만 선발투수가 나와 타자들이 완급 조절 쪽에서 타이밍이 조금씩 늦었다"고 분석했다. 이어 "초반에 잘 맞은 타구가 정면으로 가다 보니까 후반에는 선수들이 급해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경기 후 대만 왕옌궈 감독은 "선발 우셩펑이 복병이 될 것이라고 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됐다"고 미소를 지었다.

'이들도 한국 투수가 처음이었다' 26일(현지시간) 오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야구장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조별리그 B조 1차전 대한민국과 대만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한 대만 대표팀이 환호하고 있다. 이한형 기자

 

경기 전부터 지고 들어간 셈이다. 한국은 상대 선발에 대해 헛다리를 짚은 반면 대만은 한국의 허를 제대로 찔렀다. 대만 투수에 심한 낯가림을 당했던 한국 대표팀의 민낯이었다.

하지만 이제 똑같은 실수는 용납되지 않는다. 예상치 못한 선발에 당했다는 변명도 마찬가지다. 특히 낯가림은 한국만이 아니라 상대 팀에게도 똑같이 적용되는 말이다. 대만도 한국 투수들을 거의 처음 만나는 것이나 다름 없었지만 2점을 냈다.

이제 한국은 30일 숙적 일본과 슈퍼라운드 경기를 치른다. 여기서 지면 결승행이 사실상 좌절돼 금메달도 무산된다. 온갖 비난을 받은 대표팀에게 금메달 무산은 처참한 실패다.

일본은 사회인 야구 선수들이 나서 역시 전력에 대한 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본통'인 선 감독조차 "프로가 아니다 보니 전력 분석에 애로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대만보다 오히려 조직력 면에서 낫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30일 일본 선발로는 예선에 나서지 않은 사타케 가쓰토시(도요타)와 26일 파키스탄전에서 4이닝을 던진 오카노 유이치(도시바)가 예상된다. 모두 우완으로 KBO 리그 투수보다 구위는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한국과 아시안게임 슈퍼라운드에서 맞붙는 일본 대표팀.(사진=대회 조직위)

 

하지만 한국 타자들이 한번도 만나지 못했던 투수다. 우셩펑과 같이 낯가림 현상이 나올 수 있다. 결국은 그런 점에서 타자들의 집중력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특히 국제대회에서 맹위를 떨쳤던 주장 김현수의 부활이 절실하다. 김현수는 예선에서 8타수 1안타에 머물렀다. 2008 베이징올림픽부터 김현수는 국제대회 타율 3할9푼의 맹타를 휘둘렀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고 있다. 그러나 김현수는 어느 구종에도 안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선수다.

가라앉은 팀 분위기를 끌어올려야 하는 주장이기도 하다. 여기에 4번 타자 박병호의 시원한 한 방은 '일본 킬러' 이승엽의 예전 역할이었다. 이정후(넥센), 안치홍(KIA) 등 테이블 세터진의 타격감이 좋은 만큼 중심 타자들의 부활이 절실하다.

더 이상 예상 못한 선발 투수, 낯가림이라는 말은 용납되지 않는다. 상대도 똑같은 상황인 만큼 한국 선수들이 프로의 자존심을 걸고 압도적인 우위를 보여야 할 때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